목차
엮은이의 말
제1장 1930년대 러시아 스포츠 관람문화 -축구를 중심으로- / 박원용
01 머리말
02 스포츠 관람문화의 생산주체 - 국가권력과 스포츠 스타
03 스포츠 관람문화의 소비주체 - 관중
04 스포츠 관람문화의 공간 - 스타디움
05 맺음말
제2장 1930년대 독일 나치 정부시기의 축구 관람 문화 -스타디움에서 축구관람문화의 생산과 소비를 중심으로- / 박상욱
01 머리말
02 스타디움에서의 관람문화 생산
03 관람문화의 소비: 관객
04 맺음말
제3장 영국 근대축구의 사회·문화적 역할과 1928년 웸블리(Wembley) 민족 대항전 / 정영주
01 머리말
02 민중놀이 축구의 근대화
03 축구의 대중화와 브리티쉬 홈 챔피언쉽
04 축구의 사회·문화적 역할과 1928년 웸블리 민족 대항전
05 맺음말
제4장 19세기 말 미식축구와 계급경계의 유동성 / 김정욱
01 머리말
02 강인한 신사와 합리적 경영자를 위한 경기 속의 문화적 갈등
03 ‘조직화된 만행’으로서의 축구와 계급 경계의 해체
04 맺음말
제5장 스모의 근대 공간형성과 근대 스포츠로서의 소비 / 우정미
01 머리말
02 에코인(回向院)에서의 스모경기
03 스모의 근대 공간
04 근대스포츠로서의 스모소비
05 맺음말
제6장 미국 스포츠 문화의 새로운 지평 -1920년대 여성 스포츠 기자의 등장- / 김인선
01 머리말
02 ‘소비주의’와 최초의 여성 기자들
03 남성 스포츠를 취재한 최초의 전문 기자, 제인 딕슨
04 여성 스포츠를 전파한 최초의 전문 기자, 마가렛 고스
05 맺음말
제7장 전후 일본 가라테의 세계화과정을 통해 본 무도문화에 관한 고찰 / 최성곤
01 머리말
02 가라테의 발생과 변천
03 가라테의 유파
04 가라테의 한국 정착
05 가라테의 세계화
06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