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역사연구회시대사총서 1, 2권. 우리를 '고대'로의 모험에 초대하는 책이 출간됐다. 역사학계의 중진 학자들이 참여한 책으로, 한국 고대사학계가 성취해 온 연구를 총망라하였다. 한국 고대사의 개설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두 권으로 나누어 구성되었다.
목차
한국역사연구회시대사총서를 발간하며
머리말
고대 사회의 형성 – 초기 고대 국가의 형성과 그 구조 / 송호정
고조선의 성립
위만의 등장과 위만조선
고조선 주변 지역의 동향
고구려와 부여의 성장
삼한의 형성과 백제국·사로국·구야국
고대 사회의 발전과 재편 – 중국 대륙의 분열과 정립·발전 / 여호규
삼국의 정립과 부여·가야의 쇠퇴
고구려 세력권의 확대와 백제·신라의 대응
고구려의 남진 정책과 백제·신라·가야의 대응
신라·백제의 발전과 고구려의 내분
신라의 삼국 통일 – 대내외 정세 변동과 신라의 삼국통일 / 임기환
6세기 중반 삼국의 내부 정세와 역관계 변화
6세기 후반의 국제 정세와 고수 전쟁
7세기 전반 국제 정세와 고당 전쟁
나당 연합 결성과 백제·고구려의 멸망
나당전쟁과 삼국 통합 정책
통일신라의 개막과 전개 – 지배 체제의 개편과 종말 / 김창석
통치 체제의 개편
대외 관계의 전개
신라 ‘하대’의 정치·사회 변동
발해사의 전개 – 발해의 건국과 발전, 쇠퇴 / 김종복
고구려 유민의 동향
발해의 건국 과정
무왕대 세력 확장과 위기
발해 지배 체제의 성립
해동성국의 시대
발해의 멸망
참고문헌
연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