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부 한글 일기문학의 세계
제1장 조선시대 한글 일기문학의 시간의식과 회상의 문제
1. 문제 제기
2. 조선시대 한글 일기문학의 시간의식과 회상의 문제
3. 마무리
제2장 남평조씨의 『병자일기』-작품의 성격과 공간
1. 문제 제기
2. 『병자일기』의 형성과정과 작품성격
3. 『병자일기』의 작품공간
4. 마무리:남는 문제들
제3장 18세기 하급병사의 참전일기-『난리가』
1. 문제 제기
2. 『난리가』의 장르, 작가 및 창작 시기
3. 『난리가』의 주제의식과 표현방식
4. 마무리
제4장 19세기 시조작가 이세보의 유배일기-『신도일록』
1. 문제 제기
2. 『신도일록』의 구성과 표현
3. 『신도일록』의 문학사적 위상과 의의
제5장 19세기 나주임씨의 피란일기-『병인양란록』
1. 문제 제기
2. 『병인양란록』의 작가 문제
3. 『병인양란록』의 작품 세계
4. 마무리
제2부 한문 일기문학의 세계
제1장 장현광의 피란일기 『피란록』-성리학자가 본 임진왜란
1. 문제 제기
2. 『피란록』의 서술시각
3. 『피란록』의 글쓰기 방식
4. 『피란록』의 문학사적 위상-유진의 『임진록』, 도세순의 『용사일기』와의 대비적 검토를 중심으로
제2장 이덕무의 독서일기 『관독일기』-자아상의 확립
1. 문제 제기
2. 『관독일기』 쓰기의 목적-치유와 정체성 확립
3. 『관독일기』에 나타난 자아상
4. 마무리
제3장 김려의 유배일기 『감담일기』-일기문학으로서의 의의
1. 문제 제기
2. 일기문학으로서의 『감담일기』의 특징
3. 일기문학으로서의 『감담일기』의 의의
제4장 심노숭의 유배일기 『남천일록』-내면 고백과 가족 소통의 글쓰기
1. 문제 제기
2. 일기 쓰기의 의미
3. 『남천일록』에 나타난 내면 고백과 가족 소통의 글쓰기
4. 마무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