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미래교양총서. 중앙대학교에서 열린 '아시아 공동체론' 강좌를 재구성한 책이다. 청년의 거울이 되어줄 철학적 사유에서 출발하여, 아시아 청년의 어제와 오늘을 고찰해 보고, 일과 도전, IT, 재난, 사회적 기업 등의 영역에서 새로운 연대의 가능성을 진단해 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목차
서문: 청년이 열어갈 새로운 아시아 공동체를 상상하다
1부 나, 함께 살아갈 ‘자유와 용기’를 위하여
자유를 위한 작은 용기 / 이진경
자유, 가장 가까이 있지만 가장 먼 것
자유의 개념들
능력으로서의 자유
능력의 훈련
자유를 위한 작은 용기
대동의 이상과 유토피아를 향한 꿈 / 이연도
‘유토피아’를 이야기하는 이유
이상사회를 꿈꾸는 인간
유토피아, 세상 어느 곳에도 존재하지 않는 곳
유토피아의 실험들
모두를 위하는 마음
오늘의 한계를 뛰어넘는 열망
니체의 운명애(amor-fati)와 운칠기삼(運七技三)의 세계: 힐링을 넘어 파이팅으로 / 최순영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에 대하여
힐링을 넘어 파이팅으로
삶과 運七技三(Fortuna와 Virtu)
니체의 삶과 철학
니체의 명언
강연을 마무리하며
2부 청년, ‘뜨거운 잉여’로 살아가기
동아시아 근현대사 속의 청년 / 이기훈
젊은이의 시대가 시작되다
저항하는 청년들: 조선과 중국의 청년운동
20세기 후반 동아시아 사회와 청년
오늘날의 청년, 미래의 청년
절망의 나라에서 ‘뜨거운 잉여’로 살아간다는 것: 대전(帶電)하는 신체들 사이의 연대를 모색하며 / 심아정
들어가며: 왜 ‘뜨거운’ 잉여를 말하는가?
‘난민’이 되어 버린 일본의 청년들
청년 담론은 날조되었다!
일본 최초의 세대론, “덴포의 노인이여, 꺼져라.”
100년 전 일본 청년들의 고민
매력적인 아방가르드, 실즈(SEALSs)의 등장
Tell me what democracy looks like!
‘실즈’의 자처하는 입과 ‘재특회’의 증오하는 입
르상티망을 넘어서기: 호리 에리야스의 사례
혁명을 연습하기: 모바일 하우스아 제로엔 센터의 사례
법의 새로운 사용법
겁쟁이라도 괜찮아!: 대전(帶電)하는 신체들의 느슨한 연대
동아시아라는 지평에서 학문한다는 것: 다케우치 요시미의 베이징 체류를 단서 삼아 / 윤여일
바깥의 체험, 안의 사고
가깝고도 먼 나라
다케우치 요시미의 베이징 유학 체험
지나와 중국
이중의 거리감
나는 모어사회 속으로 얼마나 진입하고 있는가
동아시아라는 사고공간
동아시아에서 공부하다
그들의 오늘도 ‘한 번 하기’에서 시작됐다 / 김민태
도전할 수 있는 힘 vs 도전을 막는 힘
어제보다 나아졌다면 충분하다
성장의 비밀, 한 번 하기
한 번 하기와 점의 연결
한 번 하기와 작은 성공의 경험
일단 출석하기
아무도 미래를 속단할 순 없다
해 보기 전까지는 모른다
좋아하는 일이 최고의 보상이다
하고 싶지 않은 일을 하면서도 실패할 수 있다
‘따로 또 같이’ 가치를 디자인하다 / 김진택
창조와 융합: 피곤한 구호?
창조와 융합: 인간 지성의 고유한 생성의 패턴
가치 디자인으로서의 인문기술융합콘텐츠
크라우드 소싱과 창조적 융합의 실천들
가치 디자인으로서의 크라우드 소싱기반 콘텐츠
실존적 가치의 훈련과 ‘따로 또 같이’의 힘
아시아적 재난과 안전공동체를 생각한다 / 김영근
전후(戰後)가 끝나고 재후(災後)가 시작되었다
진재학의 확산과 연구 성과는 무엇인가
한국의 재해문화와 안전교육에 있어서의 대학의 역할은 무엇인가
아시아적 안전공동체 구축을 위해서
Social Business for Asian Women / 이지혜
사회적 기업 오요리아시아를 시작하게 된 이유
오요리아시아 사업 소개
홍대 오요리 레스토랑에서 함께 일한 ‘보티녹넌’ 씨 이야기
카페 미티니에서 일하는 바리스타 ‘다와’ 씨 이야기
오요리 타일랜드의 사회적 기업 이야기
아시아 사회적 기업가 이야기
청년들의 질문과 답변의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