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기독교 메시아사상에 대한 철학적 탐색을 처음으로 시도한 <메시아는 더 이상 오지 않는다>의 연장선상에 있는 책이다.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평화는 물론, 인류 전체의 평화와 공존의 미래를 위해 초석이 되어줄 내용들로 가득하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추천사
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원장 김형효
전 민주평화통일자문위원회 수석부의장 김민하
전 중앙일보·조선일보 논설위원 공종원

서문

1 ‘평화의 여정’으로서의 한국문화
1. ‘평화철학’으로서의 네오샤머니즘(neo-shamanism)
고대조선, 원시샤머니즘, 평화민족
한국의 전통문화와 샤머니즘
한국의 효(孝)사상과 심정(心情)문화
한국문화는 종교적·여성적·예술적
2. ‘뜻으로 본 한국역사’의 창조적 계승발전
3. 한민족사 복원을 위한 현재적 ‘다물(多勿)’정신
동아시아사와 문명의 원시반본(原始反本)
유라시아적 관점에서 본 역사학과 인류평화
4. ‘평화의 여정’으로서의 한국문화 특징
평화를 사랑한 한민족
민족-민중-민주의 한계
문학만이 제 역할을 수행
역사와 철학의 실종
부성부재(父性不在), 성인부재(聖人不在)의 문화
후천(後天) 여성시대와 평화철학
5. 인류의 4대 신화와 가부장제
6. 지구 어머니, 마고(麻姑)
7. 여성신화체계와 시(詩), 그리고 평화

2 원시반본과 평화
1. 네오샤머니즘(neo-shamanism)과 평화
2. 각자 메시아, 각자 부처의 시대
3. 사회과학적 지평의 결별과 ‘이웃(형제)’의 회복
4. 지식의 평화, 깨달음의 평화
5. 행복이란 무엇인가

3 종교와 문명의 벽을 넘어선 평화
1. 인종, 종교, 문명―문화의 벽 허물기
2. 불교-기독교의 융합과 평화
3. 고등종교의 해체와 가정의 신비
4. ‘지구촌 가족화’와 지구공동체정신의 함양

4 평화의 길, 구원의 길
1. 평화는 인류공멸의 마지막 방어수단 - 자유, 평등, 박애에서 평화로
2. 국가유엔 플러스 종교유엔
3. 논리적(logical) 평화와 비논리적(non-logical) 평화 - 심정문화세계의 구현을 위하여
4. 세계는 하나의 가정 - 가정에서 세계로, 세계에서 가정으로

5 주체적 평화·통일을 위하여
1. 평화의 주체적인 모습
주체적인 평화
‘민중’에서 ‘통일·평화’철학으로
양음(陽陰)에서 다시 음양(陰陽)으로

6 삶의 생태로서의 전쟁과 평화
1. 유목민족의 전쟁과 농경민족의 평화
2. 동일성과 전쟁의 논리, 그리고 전쟁기계
3. 기후환경과 근본주의와 테러리즘
4. 파시즘(fascism)과 피시즘(peacism) - 유대기독교의 ‘파시즘’과 한민족단군교의 ‘피시즘’

7 폭력과 평화의 이중성과 상징성 : 폭력의 근원에 대한 철학인류학적 해석
1. 약육강식의 에콜로지와 폭력
2. 인류문화의 전쟁영웅과 평화영웅
3. 합법화된 폭력으로서의 권력, 그리고 말(language)
4. 가족제도로 본 권력과 폭력
5. 성과 폭력의 메커니즘의 닮은꼴: 가부장제와 국가
6. 육식과 폭력 ― 고기를 둘러싼 모순과 위선
7. 인류의 과제: 평화와 비폭력
8. 철학인류학으로 본 종교와 성(性) - 제사와 섹스의 유비(類比)에 대하여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사상  : 한류의 뿌리를 내리는 한思想으로의 초대 사상 : 한류의 뿌리를 내리는 한思想으로의 초대 2014 / 지음: 김상일 / 상생출판
(오래된 미래의) 철학  : 과정철학자가 풀이해 본 천부경과 삼일신고 (오래된 미래의) 철학 : 과정철학자가 풀이해 본 천부경과 삼일신고 2014 / 지음: 김상일 / 상생출판
(청소년을 위한)한국철학사 : 단군신화에서 현대 철학까지 (청소년을 위한)한국철학사 : 단군신화에서 현대 철학까지 2007 / 김윤경 지음 / 두리미디어
神나는 윷판 인생 : 하늘과 땅과 사람이 윷판에서 신나게 함께 살아간다 神나는 윷판 인생 : 하늘과 땅과 사람이 윷판에서 신나게 함께 살아간다 2018 / 지음: 김홍석 / 청어
대화로 철학하기 : 사상사부터 예술철학까지 한국 철학의 현재와 미래를 말하다 대화로 철학하기 : 사상사부터 예술철학까지 한국 철학의 현재와 미래를 말하다 2023 / 지음: 김성민 [외] / 동녘
다석 류영모 : 우리말과 우리글로 철학한 큰 사상가 다석 류영모 : 우리말과 우리글로 철학한 큰 사상가 2009 / 박영호 지음 / 두레
선 ·생명·조화 선 ·생명·조화 2004 / 민영현 지음 / 모시는 사람들
평화의 여정으로 본 한국문화 : 세계평화를 위한 한국인의 지혜 평화의 여정으로 본 한국문화 : 세계평화를 위한 한국인의 지혜 2016 / 지음: 박정진 / 행복한에너지
한국 근대사상사 : 서양의 근대, 동아시아 근대, 한국의 근대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한국 근대사상사 : 서양의 근대, 동아시아 근대, 한국의 근대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2016 / 지음: 박정심 / 천년의상상
麗末鮮初 成理學의 受容과 學脈 麗末鮮初 成理學의 受容과 學脈 2004 / 申千湜 著 / 景仁文化社
(일본에서 일본인들에게 들려준) 한삶과 한마음과 한얼의 공공철학 이야기 (일본에서 일본인들에게 들려준) 한삶과 한마음과 한얼의 공공철학 이야기 2012 / 김태창 구술 ; 야규 마코토 기록 ; 정지욱 옮김 / 모시는사람들
한국근대사상사 탐구 한국근대사상사 탐구 2012 / 양은용 / 논형
어떤 지구를 상상할 것인가: 지구인문학의 발견 어떤 지구를 상상할 것인가: 지구인문학의 발견 2023 / 지음: 허남진 [외] / 모시는사람들
대한민국철학사 : 철학은 슬픔 속에서 생명을 가진다 대한민국철학사 : 철학은 슬픔 속에서 생명을 가진다 2020 / 지음: 유대칠 / 이상북스
대한민국철학사 : 철학은 슬픔 속에서 생명을 가진다 대한민국철학사 : 철학은 슬픔 속에서 생명을 가진다 2020 / 지음: 유대칠 / 이상북스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대한민국철학사 대한민국철학사 2020 / 지음: 유대칠 / 이상북스
사랑하지 말자 사랑하지 말자 2013 / 김용옥 지음 / 통나무
조선의 정신을 세우다 : 이황 & 이이 조선의 정신을 세우다 : 이황 & 이이 2013 / 조남호 지음 / 김영사
율곡이 묻고 퇴계가 답하다 :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과 정치 철학 율곡이 묻고 퇴계가 답하다 :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과 정치 철학 2018 / 지음: 김형찬 / 바다
나를 찾고 너를 만나 : 유학자와 함께 일상에서 철학하기 나를 찾고 너를 만나 : 유학자와 함께 일상에서 철학하기 2015 / 금장태 지음 / 바오로딸
정약용 : 조선의 르네상스를 꿈꾸다 정약용 : 조선의 르네상스를 꿈꾸다 2012 / 함규진 지음 / 한길사
이 개만도 못한 버러지들아  : 다산 정약용, 조선을 고발하다 이 개만도 못한 버러지들아 : 다산 정약용, 조선을 고발하다 2013 / 정약용 지음 ; 노만수 엮어옮김 / 앨피
율곡 인문학 : 조선 최고 지성에게 사람다움의 길을 묻다 율곡 인문학 : 조선 최고 지성에게 사람다움의 길을 묻다 2017 / 지음: 한정주 / 다산북스
퇴계의 사람 공부 :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인간의 도리 퇴계의 사람 공부 :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인간의 도리 2019 / 지음: 이황, 옮김: 이광호 / 홍익
윤리와 사회철학 : 다산기념 철학강좌 : 세계 석학들의 향연 윤리와 사회철학 : 다산기념 철학강좌 : 세계 석학들의 향연 2015 / 편: 한국철학회 / 철학과 현실사
(순암 안정복의)일상과 이택재 장서 (순암 안정복의)일상과 이택재 장서 2013 / 김현영 외지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 리와 기로 해석한 한국 사회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 리와 기로 해석한 한국 사회 2017 / 지음: 오구라 기조 ; 옮김: 조성환 / 모시는사람들
우리것으로 철학하기 우리것으로 철학하기 2003 / 한상우 지음 / 현암사
목민심서, 마음으로 읽는 다산 정신 목민심서, 마음으로 읽는 다산 정신 2005 / 정약용 지음 ; 장승희 풀어씀 / 풀빛
조선 성리학, 지식권력의 탄생  : 조선시대 문묘 종사 논쟁 읽기 조선 성리학, 지식권력의 탄생 : 조선시대 문묘 종사 논쟁 읽기 2010 / 김용헌 지음 / 웅진씽크빅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