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의 원서는 일본 조선사연구회가 2011년에 엮은 <조선사연구입문>으로, 1980년대 이후 30년간 일본에서 이루어진 한국사 연구의 최신 성과를 정리한 것이다. 선사시대의 한반도, 국가형성과 삼국, 통일신라와 발해, 고려, 조선, 개항기.대한제국기, 식민지기, 현대사 등 8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옮긴이 서문
머리말
서론 한국사 연구의 과제와 현황
1 한국사 연구의 의의와 과제
2 일본에서의 한국사학사
3 일본인의 한국 인식
4 역사인식·한국사 교육의 문제
5 이 책의 목적과 구성
제1장 선사시대의 한반도
1 구석기시대
2 신석기시대
3 청동기시대·초기철기시대
제2장 국가형성과 삼국
1 총설
2-a 고조선·한사군·삼한(문헌사학)
2-b 낙랑·삼한(고고학)
3-a 고구려(문헌사학)
3-b 고구려(고고학)
4-a 백제(문헌사학)
4-b 백제(고고학)
5-a 신라(문헌사학)
5-b 신라(고고학)
6-a 가야(문헌사학)
6-b 가야(고고학)
제3장 통일신라와 발해
1 통일신라
2 발해
제4장 고려
1 정치사·대외관계사
2 경제사·사회사·문화사
제5장 조선
1-a 정치사(전기)
1-b 정치사(후기)
2-a 대외관계사(전기)
2-b 대외관계사(후기)
3 경제사
4 사회사
5 조선왕조의 사상과 문화
제6장 개항기·대한제국기
1-a 정치·외교사(청일전쟁 이전)
1-b 정치·외교사(청일전쟁~한국병합)
2 사상사·운동사
3-a 사회경제사(1) 농업사·토지제도사·재정사
3-b 사회경제사(2) 상업·공업·무역
4 문화사·교육사
제7장 식민지기
1 정치사
2 민족운동·사회운동사
3 경제사
4 문화사·사회사·교육사
5 재외한인사
제8장 현대사
1 정치사
2 대외관계사
3 경제사
4 사회사·문화사
5 재외한인사
참고문헌
찾아보기
찾아보기 : 일본인 연구자 인명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