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면서
1장 조선전기 일본과의 문물교류
1. 6백년 만에 일본과 국교를 열다
2. 경제적 교류의 형태와 물품
3. 사절이 활발하게 왕래하다
4. 교류한 양국의 문물
5. 조선과 일본은 서로를 어떻게 인식하였나?
2장 임진전쟁과 조·일 간의 문물교류
1. 중세 동아시아의 국제전쟁
2. 일본에 전수한 조선의 문물
3. 일본을 통해 전래된 문물
4. 전란 속에서 꽃핀 교류
3장 조선후기 통신사행의 문화 교류
1. 교린의 사절, 통신사
2. 국교를 재개하고 통신사를 파견하다
3. 통신사행의 사명과 구성은 어떠하였나?
4. 문화교류 활동의 실상
5. 통신사행의 동아시아 문화사적 의의
4장 1711년 신묘통신사행과 가가번(加賀藩)의 문화교류
1. 신묘통신사행과 문화교류의 양상
2. 가가번 문사와 통신사행원의 교류
3. 이토 신야와 『정덕화한창수록(正德和韓唱錄)』
4. 이토 신야의 교류활동과 조선 인식
5장 19세기 초 대둔사 승려의 일본 표류와 교류
1. 조선시대에서 표류란?
2. 풍계대사 현정과 『일본표해록』
3. 풍계대사 일행의 표류와 일본에서의 활동
4. 풍계대사의 일본 인식
5. 『일본표해록』의 가치와 표류의 의의
6장 유구와의 문물 교류
1. 15세기 해상왕국이었던 유구
2. 유구에 문물을 전수하다
3. 기술을 서로 교류하다
4. 문물 교류의 특징과 의의
7장 시볼트, 조선표류민, 나가사키
1. 표류민 송환의 무대, 나가사키
2. 시볼트는 누구인가?
3. 『일본』과 조선에 관한 저술
4. 시볼트, 조선표류민과 교류하다
5. 시볼트의 조선 인식
6. 교류의 역사적 의미
8장 조선후기 실학파의 세계관과 해양인식
1. 실학파 이전의 세계관과 대외인식은 어떠하였나?
2. 18세기 실학파의 세계관과 대외인식
3. 실학파의 해양인식
4. 실학파 해양인식의 특성과 의의
참고문헌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