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영해지역의 역사문화적 배경과 주요 종족의 정착과정
Ⅰ. 영해지역의 역사문화적 배경
Ⅱ. 저명 반촌의 주요 종족 입촌과정
제2장 주요 반촌의 사회경제적 특성 -웃나라골·원구리·호지말-
Ⅰ. 웃나라골(창수면 인량2리)
Ⅱ. 원구마을(영해면 원구1리)
Ⅲ. 호지말(영해면 괴시1리)
제3장 삼성종족마을의 혼인연대 -원구마을의 사례-
Ⅰ. 서론
Ⅱ. 세 성씨의 원구마을 정착과정과 종족정체성
Ⅲ. 세 성씨의 혼인관계
Ⅳ. 동제와 줄다리기에 나타나는 종족간의 경쟁과 협동
Ⅴ. 맺는 말
제4장 종족구성과 마을조직 -호지말·원구·웃나라골-
Ⅰ. 서론
Ⅱ. 동제조직
Ⅲ. 장례조직
Ⅳ. 노인들의 교유관계
Ⅴ. 종족구성과 마을조직의 특징
제5장 원구마을 영양남씨의 문중조직과 종족활동
Ⅰ. 서론
Ⅱ. 난고 남경훈(蘭皐 南慶薰)
Ⅲ. 문중조직
Ⅳ. 종족활동
Ⅴ. 결론
제6장 도곡마을 무안박씨의 문중조직과 종족활동
Ⅰ. 서론
Ⅱ. 무안박씨의 도곡마을 정착과정과 무의공 박의장
Ⅲ. 문중조직
Ⅳ. 종족활동
Ⅴ. 결론
제7장 어촌마을의 인구이동 -차유마을의 사례-
Ⅰ. 서론
Ⅱ. 조사대상 마을의 개황
Ⅲ. 위장신고와 신고누락의 실태
Ⅳ. 연도별 인구이동 추세
Ⅴ. 이동인구의 성별·연령별 구성
Ⅵ. 이동유형
Ⅶ. 이동인구의 지역분포
Ⅷ. 반복이동의 실태
Ⅸ. 맺는 말
제8장 어촌마을의 제사분할 -차유마을의 사례-
Ⅰ. 서론
Ⅱ. 제사분할에 관한 기존 연구들
Ⅲ. 중요 성씨의 정착과정과 문중조직
Ⅳ. 차유마을의 제사분할 사례
Ⅴ. 동해안 어촌마을 제사분할의 특징
Ⅵ. 앞으로의 연구과제
제9장 어촌마을의 지역적 통혼권 -차유와 시나리마을-
Ⅰ. 서론
Ⅱ. 선행연구의 검토
Ⅲ. 차유마을의 통혼권
Ⅳ. 시나리마을의 통혼권
Ⅴ. 인근 농촌마을의 통혼권
Ⅵ. 결론
제10장 어촌·농촌·반촌의 통혼권 비교
Ⅰ. 서론
Ⅱ.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Ⅲ. 영해지역의 통혼권 개관-원영해지역에 집중된 혼인-
Ⅳ. 어촌마을과 농촌마을의 통혼권 비교
Ⅴ. 일반농촌과 저명반촌의 통혼권 비교
Ⅵ. 요약과 결론
제11장 시나리의 어촌새마을운동 -갯바위 틈에서 일군 낙토-
Ⅰ. 바다와 육지의 틈바구니에서-어촌새마을운동의 이중고-
Ⅱ. 시나리마을의 자연환경과 주민들의 삶
Ⅲ. 저축을 통한 정신운동
Ⅳ. 바위를 깨고 일군 자연산 미역서식장
Ⅴ. 멍게양식장과 어장개설, 어선건조 사업
Ⅵ. 바위를 옮기고 마련한 어항-우공이산(愚公移山)의 현실화-
Ⅶ. 대명천지로 통하는 도로개설-낙도의 천지개벽-
Ⅷ. 후세를 위한 어린이놀이터 조성
Ⅸ. 지도자의 비전과 헌신봉사-어촌계장 김영창씨의 삶-
Ⅹ. 어촌새마을운동의 성공요건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