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5
1부 의료윤리교육의 배경
1장 의료윤리와 의료윤리교육의 역사적 조망 19
2장 의료윤리교육과 의학전문직업성 35
3장 전문직윤리와 생명의료윤리 44
4장 의료윤리교육과 법 48
5장 의료윤리와 의료인문학 54
2부 고전적 윤리교육 이론
6장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교육 이론 65
7장 칸트의 윤리교육 이론 73
8장 듀이의 윤리교육 이론 80
9장 우리나라의 전통 윤리교육 이론 85
3부 현대의 윤리교육 이론
10장 인지발달이론과 윤리교육: 피아제, 콜버그, 레스트 92
11장 길리건과 나딩스의 여성주의적 윤리교육 이론 102
12장 비고츠키와 사회적 구성주의 109
13장 인성교육과 의료윤리교육 117
4부 생명의료윤리와 의료윤리교육
14장 윤리 이론과 의료윤리교육 124
15장 근대의 윤리 이론 135
16장 의료윤리 문제의 해결과 도덕 추론 144
17장 의료윤리의 방법론 149
18장 이론적 종합 156
5부 의료윤리교육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19장 우리나라 의과대학생의 특성 162
20장 의료윤리교육의 목적 170
21장 의료윤리 학습목표의 설정 177
22장 의료윤리 교육자: 자격과 경험, 훈련 188
23장 의료윤리교육을 위한 교육 자원 194
24장 기본의학교육에서 의료윤리 교육과정의 배치 199
6부 의료윤리교육 방법의 실제
25장 강의 211
26장 소그룹 토론과 딜레마 토론 227
27장 문제 바탕 학습 235
28장 의료윤리집담회 240
29장 임상 실습과 의료윤리교육 245
30장 멘토링 프로그램 250
31장 연극과 영화의 활용 256
32장 자원봉사활동 274
33장 기타 다양한 교육 방법 279
34장 의료윤리교육용 사례의 개발 297
7부 의료윤리교육 평가
35장 의료윤리교육 평가 개요 310
36장 의료윤리교육 학생 평가의 원칙 330
37장 의료윤리교육 평가의 실제 340
38장 지필시험의 문항 설계 374
39장 의료윤리교육 평가 도구의 활용 382
8부 관련 분야의 적용
40장 간호윤리교육 394
41장 치의학윤리교육 400
참고문헌 407
참고자료 415
찾아보기 463
비오스총서를 펴내며 4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