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22권. 저자는 <조선왕조실록>의 면밀한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여진인의 내조가 총 1,282회였음을 확인했으며, 이를 토대로 여진인의 내조 세력, 현황, 시기 등을 규명했다.
목차
서론 _ 1
제Ⅰ장. 태조~태종대 女眞人 來朝와 조선의 외교구상
제1절. 태조대의 여진인 내조
제2절. 태종의 집권과 대여진 관계의 변화
제3절. 太宗代 女眞征伐과 영향력 회복
제4절. 여진인 내조의 의미와 조선의 외교구상
제Ⅱ장. 세종대 여진인 통교체제의 정비
제1절. 조선인 여진인 내조 규정 제정
제2절. 대여진 관계의 변화와 조선의 대응
제3절. 여진인 통교체제의 정비와 ‘조선 중심의 외교질서’ 구축
제Ⅲ장. 세조대 조선 중심 외교질서의 실현
제1절. 세조 초기의 왕권 강화와 여진인 내조
제2절. 두만강 유역 여진인에 대한 영향력 강화
제3절. ‘조선 중심의 외교질서’의 실현
제Ⅳ장. 성종대 통교체제의 재정비와 조선 중심 외교질서의 확립
제1절. 여진인 내조와 통교체제의 재정비
제2절. 통교체제의 成文化와 조선 중심의 외교질서 확립
제Ⅴ장. 연산~명종대 조선 중심 외교질서의 유지
제1절. 연산군대 여진인 내조의 실상
제2절. 중종대 여진인 내조의 실상
제3절. 명종대 여진인 내조의 실상
제Ⅵ장. 선조~인조대 조선 중심 외교질서의 붕괴
제1절. 임진왜란 직전의 여진인 내조
제2절. 임진왜란과 여진인 내조 폐지
제3절. 누르하치와 부잔타이의 두만강 유역 진출
제4절. 조선의 藩胡 상실
결론 _ 251
참고문헌 _ 263
ABSTRACT _ 281
[별표] 조선시대 여진인 내조자 목록 _ 285
찾아보기 _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