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가 다른 두 사람이 거의 10년에 걸쳐 한반도와 독일이라는 지구 반대편의 두 현장을 둘러본 분단과 통일의 현장 답사기. 통일 독일의 사회, 문화, 생태, 역사로부터 한반도 분단 극복의 실마리를 제시한다.
목차
서문
역사는 반복되는가 _ 분단과 통일의 전사(前史) 라인강 고성 vs 임진강~염하 유적 - 옛 통일의 회상 뤼베크 소금창고(개방) vs 서해 염전(폐쇄) 베를린 프랑스성당(개방을 통한 통일) vs 강화도 대원군경고비(쇄국을 통한 분단) 바트엠스 빌헬름별장(통일전쟁) vs 화진포 김일성별장(분단전쟁) 독일 DMZ(전쟁발발) vs 한반도 DMZ(전쟁억지)
이름 모를 비목이여! _ 분단의 슬픈 자화상 포츠담회담(분단) vs 포츠담광장(통일) 점령분할선(패전국) vs 군사분계선(휴전국) 사라진 마을 vs 분단된 마을 vs 조성된 마을 - 마을 공동체 동서독(동독내) 완충지대 vs 남북한(남북간) 완충지대 155km 베를린장벽 vs 155마일 남북한분단선 - 155의 길이 오베르바움 다리(연결) vs 돌아오지 않는 다리(단절) 목숨 걸고 넘는 담 vs 죽어서 넘는 담 vs 죽어서도 못 넘는 담 - 높이가 다른 담
슬픔 속에도 희망은 자라고 _ 분단과 통일의 문화예술 한슈타인성 vs 궁예도성 - 분단선 고성 드레스덴 성모교회(화합의 건물복원) vs 철원 노동당사(방치된 건물잔해) 이스트사이드 갤러리(통일 예술) vs 임진각(분단 예술)
물은 유유히 흐르고 날것들은 자유로운데 _ 통일과 화합의 길 발트해 분단선 vs NLL - 바다의 분단 엘베강(분단선) vs 북한강(끊어진 물길) 괼치계곡다리(자발적 합작) vs 승일교(강제적 합작) 엘베강 생물권보전지역 vs DMZ 생물권보전지역 - 유네스코 자연문화협력 철의 장막 유럽그린벨트 vs 철의 삼각 철새네트워크 - 생태평화 브란덴부르크문 vs 도라산역 - 연결의 가치
맺는 글 참고문헌 찾아 보기
서가브라우징
프랑스2021 / 지음: 배리 토말린; 옮김: 김경애 / 시그마북스
독일2021 / 지음: 배리 토말린; 옮김: 박수철 / 시그마북스
아랍에미리트2021 / 지음: 제시카 힐, 존 월시; 옮김: 조유미 / 시그마북스
(교과서 밖에서 배우는)사회공부2015 / 정은교 지음 / 살림터
동화경제사 : 돈과 욕망이 넘치는 자본주의의 역사2018 / 최우성 지음 / 인물과사상사
트럼프를 당선시킨 PC의 정체2017 / 지음: 홍지수 / 북앤피플
(청소년을 위한)사회문화 에세이 : 구정화 교수와 함께 통계로 세상 읽기2014 / 구정화 지음 / 해냄
(Beyond DMZ)비무장지대를 넘는 길 : 라인강에서 출발하는 분단과 통일의 역사, 문화, 생태 기행2015 / 김규현, 김재한 지음 / 아마존의나비
역사의 역습2018 / 김용운 지음 / 맥스미디어
늠름한 소국: 빛나는 작은 나라들: 코스타리카 쿠바 우즈베키스탄 미얀마2020 / 지음: 이토 치히로; 옮김: 홍상현 / 나름북스
위어드 : 인류의 역사와 뇌구조까지 바꿔놓은 문화적 진화의 힘 2022 / 지음: 조지프 헨릭 ; 옮김: 유강은 / 21세기북스 :
동아시아 도시 이야기 : 싱가포르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 도시로 읽는 동아시아 역사와 문화 2022 / 지음: 도시사학회·연구모임 공간담화 , 고윤수, 김봉준, 김은진, 류영진, 민유기, 박삼헌, 박준형, 박철현, 박현, 서준석, 송은영, 양지혜, 윤종석, 이연경, 이진현 / 서해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