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화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다양한 관점을 종합적,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특히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가 등장한 이후 미디어가 세상을 바꾼다고 주장해 온 전통적인 ‘정보사회론’을 중심으로 그 이전과 이후의 관점은 물론, 그에 비판적인 여러 관점을 함께 다루고 있다.
목차
1장 서론: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화의 관계에 대한 인식의 확장
2장 미디어 기술과 인간 커뮤니케이션 진화의 역사: 미디어 기술 발전의 사회사적 이해 1. 미디어 기술과 커뮤니케이션 혁명 2. 구두 커뮤니케이션 시대: 인류의 가장 오래된 미디어 ‘말' 3. 문자 커뮤니케이션 시대: 메시지의 저장과 의미의 보존 4. 인쇄 커뮤니케이션 시대: 메시지의 다량 복제와 다자간 의미 공유 5. 텔레커뮤니케이션 시대: 메시지 전달의 신속성과 원격성 6.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시대: 기존 미디어 기능의 고도화와 디지털 융합
3장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동에 관한 기존 논의 1. 사회 변동에 관한 기존 논의 2. 기술과 사회의 관계: 기술결정론 vs. 사회구성론 3. 매스 미디어와 사회 변동의 관계 4. 새로운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동의 관계
7장 정보양식론 1. 마크 포스터의 정보양식론 2. 포스트모던 이론가들의 지식・정보관 3. 정보양식론적 관점의 특징과 한계
8장 자본주의산업사회론 1. ‘정보 사회’ 이행론에 대한 비판적 관점 2. 자본주의산업사회론의 등장 3. 도구주의적 관점과 구조주의적 관점 4. 초국적 정보자본주의론
9장 산업경제론 1. 산업경제론의 기본 입장 2. 산업주의적 관점 3. 조절 학파 이론 4. 산업경제론적 관점에서의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동
10장 지배양식론 1 1. 지배양식론의 기본 입장: 미디어 기술과 지배력/지배 관계 2. 감시사회론
11장 지배양식론 2 1. 로버트 포트너의 세포사회론 2. 디지털정보격차론 3. 사회적 고립과 미디어 기술: 고립인가, 결속인가? 4. 공론권 구조변동론의 부활?
12장 한국 사회의 디지털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동 1. 한국 사회의 미디어 디지털화 추이와 디지털 미디어 현황 2. 미디어 디지털화와 디지털 미디어의 사회적 영향 3. 한국 사회 미디어 디지털화와 사회 변동의 이론적 함의 4. 변화하는 것과 변화하지 않는 것에 대한 분별
13장 결론: 소통 기술의 과잉과 소통 부재의 한국 사회
서가브라우징
수축사회 : 성장 신화를 버려야 미래가 보인다2018 / 홍성국 지음 / 메디치미디어
포스트휴먼 오디세이 = Posthuman odyssey : 휴머니즘에서 포스트휴머니즘까지, 인류의 미래를 향한 지적 모험들 2019 / 지음:홍성욱 / Humanist(휴머니스트출판그룹)
포스트휴먼 오디세이 = Posthuman odyssey : 휴머니즘에서 포스트휴머니즘까지, 인류의 미래를 향한 지적 모험들 2019 / 지음:홍성욱 / Humanist(휴머니스트출판그룹)
한국 사회의 압축적 개인화와 문화변동 : 세대 및 젠더 갈등의 사회적 맥락 2022 / 지음: 홍찬숙 / 세창
우리가 사는 세계 : 인문적 인간이 만드는 문명의 지도2015 /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지음 / 천년의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