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시실 진화, 닻을 올리다
머나먼 섬에서 온 편지 | 충격 받은 다윈 | 진화 이론을 공개하다 | 다윈의 비글호 항해 | 진화의 섬 ‘갈라파고스’ | 남아메리카로 떠난 월리스 | 말레이 제도에서 쓴 원고 | 획득 형질은 유전된다: 라마르크의 《동물철학》 |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맬서스의 《인구론》 | 현재는 과거의 비밀을 푸는 열쇠: 라이엘의 《지질학 원리》
2 전시실 진화의 비밀을 찾는《종의 기원》
다윈의 노트 | 다윈은 왜 출간을 미루었나 | 드디어 《종의 기원》이 세상에 나오다 | 유리한 변이는 보존된다 | 날다람쥐가 박쥐가 될 수 있을까 | 진화만이 생명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 다윈은 ‘진화’를 말하지 않았다? | 다윈은 ‘종’을 어떻게 생각했는가 | 《종의 기원》이 알려 주는 진화
3 전시실 진화와 유전이 만나다
생물학과 박물학 | 세포학과 발생학 | 유전학 | 다윈의 유전학 연구 | 멘델이 밝혀낸 유전 원리 | 다윈주의의 추락 | 멘델의 유전학이 다윈의 진화론을 구하다 | 새로운 종의 개념
4 전시실 진화하는 진화론
인류에게 비극을 안겨 준 사회진화론과 우생학 | 종교계의 공격 | 진화심리학과 사회생물학 | 다양한 진화 연구 | 진화하는 진화론
5 전시실 진화론, 한국에 오다
진화론은 어떻게 들어왔을까 | 우리나라에서의 ‘진화’ | 사회사상으로 유입된 진화론 | 진화를 볼 수 있는 섬, 울릉도 | 울릉도에서만 자라는 고유 식물
부록 I 원래 종과는 지속적으로 달라지려는 변종의 경향에 대하여 –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
부록 II 자연 상태에 있는 생물의 변이와 자연 선택 방법, 그리고 사육 종류와 야생 종의 비교 – 찰스 다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