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 Q&A로 풀어보는 실무사례 30 01 취업규칙 한도를 넘은 연장근로수당을 청구할 수 있나요? 02 근로기준법과는 다른 휴게시간 부여가 가능한가요? 03 파업기간 중 유급휴일에 대한 임금을 받을 수 있나요? 04 기존 위탁업체 근로자들의 고용을 승계하여야 하나요? 05 조합비를 횡령한 조합간부를 징계할 수 있나요? 06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고용된 근로자를 해고할 수 있나요? 07 집행유예 판결을 받은 근로자를 당연퇴직시킬 수 있나요? 08 폐지된 학과의 교원을 직권면직 처리할 수 있나요? 09 계약기간 종료 전이지만 사직하고 싶습니다 10 사직일자를 기재하지 않은 사직서의 처리는 어떻게 하나요? 11 명예퇴직 합의 후 철회신청을 받아주어야 하나요? 12 회사에 손해를 끼친 직원에게 손해배상청구 가능한가요? 13 복직 후 퇴사 종용하는 회사 어떻게 하나요? 14 고객에게 사과를 강요하는 회사 때문에 우울증에 걸렸어요 15 사직처리 전 영업방해금지약정을 체결할 수 있나요? 16 육아휴직기간도 기간제근로자 사용기간에 포함되나요? 17 파견회사를 옮겨 다니며 동일한 곳에서 일하고 있어요 18 파견회사가 한 해지통보를 해고로 볼 수 있나요? 19 파견근로자를 직접고용할 의무가 있나요? 20 재심신청을 하였는데도 이행강제금을 납부해야 되나요? 21 노동청 조사, 대표이사가 꼭 출석해야 하나요? 22 임금체불 재진정 가능한가요? 23 산재보험 가입 없이 근무 중 사고가 났습니다 24 노동조합간부도 산재보상을 받을 수 있나요? 25 산재신청확인서에 날인해 주었는데 민사 소장을 받았습니다 26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27 소수노동조합이 노조설명회 시간을 달라고 합니다 28 직장폐쇄 어떻게 해야 적법한가요? 29 단체교섭과정에서 노조가 사무실 제공을 요구합니다 30 공장을 점거한 노동조합에게 어떤 책임을 물을 수 있나요?
3장 유용한 실무자료 01 반드시 체크해야 할 여성 근로자 관련 노동법 규정 02 취업규칙 심사요령
서가브라우징
쉽게 풀어 쓴 노동법 : 인사·노무관리 실무 : CEO와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노동법의 모든 것 2020 / 지음: 박현웅 / 푸른겨울
쉽게 풀어 쓴 노동법 2021 / 지음: 박현웅 / 푸른겨울
쉽게 풀어 쓴 노동법 : 인사·노무관리 실무 : CEO와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노동법의 모든 것 2022 / 지음: 박현웅 / 푸른겨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