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한국의 전통혼례이야기, 8도 지방별 혼례이야기, 한국의 혼례음식-폐백음식과 이바지음식이 소개되어 있다. 또한 우리 전통혼례의 모든 과정과 절차가 사진으로 재현되어 있어 한국 전통혼례의 흐름을 한눈에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하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글
저자소개
지역별 폐백이바지 음식
제1부 한국의 전통혼례 이야기
혼례(婚禮)
1. 혼례(婚禮)의 어원
2. 혼례의 특징
3. 혼례의 의의(意義)
4. 혼례(婚禮)의 정신
5. 혼례의 유래와 변천
육례 혼례 제(六禮婚禮制)
1. 납채(納采)
2. 문명(問名)
3. 납길(納吉)
4. 납징(納徵)
5. 청기(請期)
6. 친영(親迎)
사례 혼례 제(四禮婚禮制)
1. 의혼(議婚)
1) 중매(仲媒)
2) 궁합(宮合)
3) 의혼(議婚)
2. 납채(納采)
1) 사주(四柱) 보내기
(1) 사주
(2) 납채문(納采文)
2) 연길(涓吉) 보내기
(1) 연길
(2) 연길서(涓吉書)
3. 납폐(納幣)
1) 예물(채단) 보내기
(1) 채단(采緞)
(2) 혼서지(婚書紙)
(3) 함(函)
2) 봉채(封采)떡
4. 친영(親迎)
1) 초례(醮禮)준비
(1) 초행행렬
(2) 초례청 꾸미기
(3) 초례(대례)상 진설도
2) 전안례(奠雁禮)
3) 교배례(交拜禮)
4) 합근례(合巹禮)
5) 관대벗김
6) 큰상
7) 입맷상(곁상·요기상)
8) 방합례(房合禮)·신방
9) 우귀(于歸)
(1) 행렬(行列)
(2) 신부 일행 신랑집 도착
(3) 큰상(신부가 받는 상)
(4) 현구고례(見舅姑禮)
(5) 폐백음식
(6) 구고예지(舅姑禮之)
(7) 현우존장례(見于尊長禮)
(8) 궤우구고(饋于舅姑)
(9) 현대 폐백 드리는 방법
(10) 이바지 음식
(11) 구고향지(舅姑饗之)
(12) 사당폐백
(13) 문안인사
(14) 부엌출입
10) 근친(覲親, 재행(再行))
제2부 8도 지방별 혼례이야기
서울·경기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제주도
이북지방
제3부 한국의 혼례 음식 - 폐백음식
대추고임
육포
편포
오색편포
어포
고명닭
오징어오림닭
한지오림닭
구절판 Ⅰ
구절판 Ⅱ
개성폐백(시아버지)
개성폐백(시어머니)
오징어오림(다알리아, 장미)
오징어오림(학, 매화)
오징어오림(도라지꽃, 수련)
오징어꽃바구니
사지꼬지
곶감오림
한국의 혼례음식 - 이바지음식
오품냉체
장국수
오색국수
쇠갈비찜
북어찜·북어구이
해산물찜 Ⅰ(민어찜, 조기찜, 도미찜)
해산물찜 Ⅱ(대하찜, 대합찜, 소라찜)
홍어찜
전복찜
문어찜
해삼찜
돼지뒷다리수육
치즈찜
삼계선·장어구이
홍해삼
절육
해산물초(상어, 소라, 패주, 전복)
갑오징어초
홍합초
낙지호롱
쇠갈비구이
너비아니
떡갈비
섭산적
더덕구이·도라지좌반
각색전 Ⅰ
각색전 Ⅱ
모둠전 Ⅰ
모둠전 Ⅱ
사태편육과 수삼겨자채
참죽부각
김부각
모둠부각
삼색북어보푸라기
밑반찬 Ⅰ
밑반찬 Ⅱ
밑반찬 Ⅲ
밑반찬 Ⅳ
밑반찬 Ⅴ
밑반찬 Ⅵ
밑반찬 Ⅶ
흰떡(가래떡)
용떡
조랭이떡
달떡
봉치떡
혼인인절미
구름떡
부편
모둠찰떡
약식
삼색단자
두텁떡
두텁단자
오색경단
증편
꽃송편
산자
개성우메기
섭산삼병
엿
오색쌀엿강정
깨엿강정
개성식강정
인삼·더덕·도라지정과
모둠진정과
모둠건정과
동아정과
대추징조
오색매작과
약과(모약과)
수박문양오림
과일바구니
삼해주
연화주
오감주
버들주
인삼백일주
보리순주
참고문헌
함께 한 사람들
찾아보기
연구소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