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농업과 먹거리를 한국의 연구자들이 분석한 책. 한국 농식품체계가 위치해 있는 구조적이고 역사적인 맥락을 짚어보고 현재 상황을 진단한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전개되고 있는 대안 농식품운동의 주요 쟁점과 현황을 점검하면서 대안적 먹거리체계의 가능성과 실천과제를 검토한다.
목차
책을 내며- 한국 농식품체계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1부 현대 농식품체계의 형성 1장 현대사회의 먹거리와 농업: 현대 농식품체계의 이해 / 김철규 들어가며 현대 농식품체계와 사회학적 상상력 현대 농식품체계의 형성 세계화와 기업식량체제 현대 농식품체계의 이해를 위한 몇 가지 개념 맺음말: 먹거리시민과 먹거리정치 2장 한국 농업근대화의 사회정치적 기원과 귀결 / 박동범 들어가며 근대식민주의 체제의 흥망과 농업의 자본주의적 재조직화 발전주의 체제의 흥망과 ‘농업근대화’ 구상의 국제적 확산 세계화 프로젝트의 흥망과 대안농업의 지구정치 나가며: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2부 한국 농식품체계의 특징 3장 한국 농업의 전개와 농업·농촌의 변화 / 송원규 한국 농업의 전개 한국 농업의 산업화와 농업·농촌의 변화 한국 농업구조 변화의 결과: 농업·농촌의 위기 농업·농촌의 새로운 움직임 4장 식품산업과 한국의 기업식량체계 / 송인주 자본주의와 식품산업 기업식량체계와 식품안전 문제 한국 식품산업의 발전 과정 기업식량체계와 한국사회의 먹거리불안 5장 한국사회의 먹거리아노미와 한식문화 / 정혜경 음식과 문화 현대의 음식문화 아노미 한국 음식문화의 변화와 먹거리정책의 대응 대안음식으로서 ‘한식’의 가치 한국 음식문화의 미래
3부 먹거리체계의 대안을 찾아서 6장 먹거리정치: 담론과 실천 / 이해진 왜 먹거리정치인가? 식량안보 담론의 정치 식량주권 운동의 정치 식품안전과 소비의 정치 먹거리시민권 정치와 주체 형성 대안 먹거리정치를 향해 7장 먹거리복지와 공공급식 / 김흥주·안윤숙·이현진 먹거리복지란 무엇인가 먹거리양극화 문제 공공급식의 실태와 문제 실천과제 8장 한국의 대안 농식품운동 / 윤병선 문제제기 대안농업 운동 생활협동조합 운동 로컬푸드 운동 새로운 시도들과 대안 농식품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