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제1장 농어업유산의 개념
제1절 농어업유산에 대한 기본인식
1. 농업유산의 가치에 대한 전통적 인식
2. 농업유산의 가치에 대한 FAO의 인식
제2절 유산관련개념의 검토
1. FAO의 GIAHS
2. UNESCO의 세계유산제도
3. 일본의 문화적 경관
4. 유럽의 농촌유산
5. 농촌 어메니티
6. 제 개념간의 관계분석
제3절 한국농어업유산의 개념
1. 한국농어업유산에 대한 인식
2. 농어업유산의 가치인식을 위한 기본관점
3. 한국농어업유산 개념의 정의
4. 한국농어업유산 개념의 범위
5. 한국농어업유산의 지정기준
6. 한국농어업유산개념의 유효성과 한계
제2장 농어업 유산자원의 실태조사 분석
제1절 관련정책 및 제도 분석
1. 개요
2. 문화재청
3. 환경부
4. 국토해양부
5. 농림축산식품부
6. 시사점
제2절 기존 농어업 유산관련 자원의 현황 및 관리실태 분석
1. 기존 농어업 유산관련 자원의 현황
2. 농어업유산 실태
3. 종합
제3장 국가농어업유산 사례(1): 청산도 구들장논
제1절 농업에 깃듯 온돌의 원리
1. 사람의 뱃속까지 따뜻하게 하다
2.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
3. 구들장논이 연주하는 다양한 생명들의 하모니
4. 구들장논이 말하는 것
5. 문화로 읽는 구들장논
6. 풍경으로 즐기는 구들장논
7. 구들장논 사용설명서
8. 청산에 살어리랏다
9. 청산도는 보물섬
10. 돌을 쌓아 지어올린 청산도의 역사
11. 청산도에 드리워진 그림자
12. 미래를 바라보는 청산도의 청사진
제4장 국가농어업유산 사례(2): 제주밭담
제1절 현황 및 개요
제2절 ‘화산섬 제주’와 제주밭담의 형성
1. 제주섬의 탄생
2. 제주섬의 토양특성과 분포패턴
3. 농사의 시작과 기후특성
4. 제주밭담의 탄생
5. 밭담과 제주농업의 역사
6. 고문헌을 통해 본 제주밭담
제3절 제주밭담의 지식체계와 기술적 특성
1. 제주밭담의 구조적 특성
2. 제주밭담의 유형
제4절 제주밭담과 농업시스템적 가치
1. 제주밭담의 길이
2. 세계 유사문화와의 차별성
3. 제주밭담의 기능과 전통농업시스템
4. 제주농업과 밭담의 지속가능성
제5절 제주밭담의 농업경관
1. 제주도의 문화경관과 형성요소
2. 제주밭담의 경관특성
제6절 제주밭담의 생물다양성 특징
1. 제주밭담의 생물다양성
2. 밭작물의 유전자 다양성
제7절 제주밭담의 문화적 특징
1. 제주 돌문화의 상징적 이미지
2. 제주지역의 돌, 현무암의 쓰임새
3. 제주 돌문화의 화신, 돌담
4. 제주밭담의 사회·문화적 의미
5. 토양특성에 다른 문화유형 사례
6. ‘돌의 나라’,‘바람의 나라’라는 삶의 여건이 엮어낸 독특한 민속
7. 독특한 매장문화와 벌초
제8절 제주밭담이 위협과 보존 관리 방안
1. 제주밭담의 위협요인들
2. 밭담 보존 관리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
3. 농업유산 제주밭담 보전지역의 지정
4. 제주밭담 관리계획의 수립
5. 제주밭담 보존·활용을 위한 Action plans
제5장 세계중요농업우산제도와 사례
제1절 세계중요농업유산제도(GIAHS)의 개요
1. 정의
2. 등재 절차
3.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지역
제2절 GIAHS 사례 소개
1. 일본 사도시 사례
2. 일본 노토반드 사례
3. 시사점
제6장 농어업유산의 보전과 활용
제1절 정책의 개요
1. 농어업유산과 농어촌지역개발
2. 농어업유산정책의 목적
3. 농어업유산정책의 기능
4. 농어업유산정책의 기본방향
제2절 정책체계
1. 농어업유산의 지정
2. 농어업유산심의위원회
3. 국가농어업유산의 관리
제3절 농어업유산 관리 및 활용방안
1. 관리·활용의 개념
2. 관리구역 지정기준
3. 관리(보전·활용)계획
4. 관리
5. 활용
6. 관련 주체별 역할
제7장 농어업유산제도의 도입 과정과 향후 정책방향
제1절 농어업유산제도의 도입과정과 추진경과
제2절 농어업유산 향후 정책방향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