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해양과 선박
1. 해양과 선박
1.1 해양의 개요
1.2 해양과 선박
2. 해수의 특성
2.1 해수의 물리적 성질
2.2 해수의 화학적 성질
2.3 해수의 운동
3. 선박의 종류와 특징
3.1 선박의 개요
3.2 상선의 종류와 특징
제2장 선박 재료의 기초
1. 선박 재료의 특성
1.1 선박 재료의 특성
1.2 선박 재료의 분류
2. 금속의 특성과 결정 구조
2.1 금속의 특성
2.2 용융 금속의 응고와 결정
3. 금속의 상 변태
3.1 금속의 상 변태
3.2 2종 합금의 결정 조직과 평형 상태도
4. 금속의 소성 변형
4.1 금속의 변형
4.2 슬립과 쌍정
4.3 전위
4.4 가공과 재결정
4.5 열처리와 시효
제3장 재료 시험과 검사
1. 기계적 시험
1.1 인장 시험
1.2 경도 시험
1.3 충격 시험
1.4 피로 시험
1.5 크리프 시험
1.6 마멸 시험
1.7 굽힘 시험
1.8 불꽃 시험
2. 비파괴 시험
2.1 자기 탐상 시험
2.2 침투 탐상 시험
2.3 초음파 탐상 시험
2.4 방사선 투과 시험
3. 현미경 조직 검사
3.1 현미경 조직 검사의 개요
3.2 현미경 조직 검사의 방법
4. 재료의 파괴
4.1 재료의 파괴 형태
4.2 연성 파괴와 취성 파괴
제4장 철강 재료
1. 철강 재료의 개요
1.1 철강 재료의 분류
1.2 철강 재료의 제조 공정
2. 순철과 탄소강
2.1 순철
2.2 탄소강의 상태도 및 조직
2.3 철강 재료의 열처리
2.4 탄소강의 분류와 성질
2.5 강의 고온에서 산화와 탈탄
제5장 구조용 합금 재료
1. 합금 재료의 특성과 합금 원소
1.1 합금강의 특성
1.2 합금 원소의 영향
2. 구조용 압연강재
2.1 일반구조용 압연 강재
2.2 선체 구조용 압연강재
2.3 압력용기용 압연강판
2.4 압연 스테인리스강재 및 클래드 강판
2.5 체인용 봉강
2.6 기계구조용 탄소강 및 합금강 강재
2.7 내해수강
2.8 공구 재료용 탄소강 및 합금강
2.9 특수 용도용 합금강
3. 저온 재료
3.1 저온 재료의 사용 환경
3.2 저온용 압연강재
3.3 알루미늄 합금
3.4 인바(Invar)(불변강)
4. 내열 재료
4.1 Cr계 내열강
4.2 Cr-Ni계 내열강
4.3 Fe-Cr-Ni-Co계 내열강
4.4 초내열 합금
5. 배관용 재료
5.1 배관의 기초
5.2 배관용 재료
5.3 보일러 및 열교환기 강관
5.4 압력 배관용 강관
5.5 탱커의 화물용 강관
6. 주강과 단강
6.1 주강
6.2 단강
7. 주철
7.1 주철의 성질과 조직
7.2 주철의 종류와 용도
제6장 비철 금속 재료
1. 동과 그 합금
1.1 동의 성질
1.2 동 및 동합금의 분류
1.3 황동
1.4 청동
1.5 동합금 주물
2. 알루미늄과 그 합금
2.1 알루미늄의 성질
2.2 알루미늄 합금의 분류
3. Ni과 그 합금
3.1 Ni의 성질
3.2 Ni 합금의 종류
4. 그 밖의 비철 금속 재료
4.1 마그네슘과 그 합금
4.2 아연과 그 합금
4.3 타이타늄과 그 합금
4.4 코발트와 그 합금
5. 금속 베어링 합금
5.1 금속 베어링에 필요한 성질
5.2 백색 합금계의 금속 베어링 합금
5.3 동계 금속 베어링 합금
6. 저용융점 금속과 그 합금
제7장 표면 처리
1. 금속의 표면 처리의 의의와 처리 방법
1.1 도금
1.2 화성 처리
1.3 양극산화
1.4 도장
1.5 라이닝
16. 표면 경화
1.7 코팅
2. 도장
2.1 도장 절차
2.2 도장 종류의 개요
2.3 붓 도장
2.4 롤러 도장
2.5 스프레이 도장
2.6 침지 도장
2.7 전착 도장
3. 용융 도금
3.1 용융 아연 도금 공정
3.2 용융 아연 도금 피막 분석 및 특성
3.3 용융 알루미늄 도금
4. 습식 및 건식 도금
4.1 습식 및 건식 도금의 분류
4.2 습식 도금
4.3 건식 도금
제8장 부식과 방식
1. 부식
1.1 금속의 부식
1.2 부식의 종류
1.3 전면 부식
1.4 갈바니 부식
1.5 공식
1.6 입계 부식
1.7 틈 부식
1.8 선택 부식
1.9 침식 부식과 프렛팅 부식
1.10 고온 부식
1.11 저온 부식
1.12 응력 부식
1.13 수소 유발 균열
1.14 부식 피로
1.15 해수 부식
1.16 대기 부식
1.17 토중 부식
1.18 미주 전류 부식
2. 방식
2.1 방식법의 분류
2.2 내식성 금속
2.3 금속 재질의 개선
2.4 표면 처리 방식법
2.5 전기화학적 방식법
제9장 선박용 주요 부품 재료의 손상과 보수 용접
1. 선박용 용접 및 절단
1.1 용접의 종류
1.2 피복 아크 용접
1.3 가스 용접
1.4 불활성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
1.5 플라스마 아크 용접
1.6 불활성 가스 금속 아크 용접
1.7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1.8 절단
2. 고장력강 선체
2.1 고장력강 선체의 손상
2.2 고장력강 선체의 보수 용접
3. 해수 배관
3.1 해수 배관의 손상
3.2 해수 배관 보수 용접
4. 배기 밸브
4.1 배기 밸브의 손상
4.2 배기 밸브의 보수 용접
5. 피스톤 크라운
5.1 피스톤 크라운의 손상
5.2 피스톤 크라운의 보수 용접
6. 실린더 커버
6.1 실린더 커버의 손상
6.2 실린더 커버의 보수 용접
7. 과급기 케이싱 및 배기 밸브 케이지
7.1 과급기 케이싱 및 배기 밸브 케이지의 손상
7.2 과급기 케이싱 및 배기 밸브 케이지의 보수 용접
8. 냉동장치 동관
8.1 냉동장치 동관의 손상
8.2 냉동 장치 동관의 보수 용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