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장│서론
│제2장│지역정치체의 형성과 商 국가
제1절 지역정치체의 성립과 광역적 통합의 전개
1. 新石器文化의 다양성
2. 城郭聚落의 출현과 지역정치제
3. 지역정치체의 규모와 광역적 통합의 경향
제2절 商 국가의 구조와 성격
1. 商 국가의 지역 지배와 그 한계
2. 상대 지역정치체의 양상
3. 商의 지역 진출과 ‘作邑’
제3절 商周府革命의 여정
│제3장│西周 封建의 내용과 성격
제1절 고대 문헌에 보이는 봉건
제2절 宜侯夨簋에 보이는 봉건의 양상
1. 의후에 대한 봉건 사여
2. 의후의 봉건 배경
제3절 燕侯의 봉건과 그 배경
1. 연후에 대한 봉건 사여
2. 연후 봉건의 배경
제4절 제후의 기능과 봉건의 성격
1. 이동하는 제후
2. 周의 ‘天下’
3. 제후의 기능과 주의 봉건
│제4장│褒封 전승과 지역정치체의 봉건
제1절 褒封의 전승과 이성제후
제2절 이성제후와 이성의식
제3절 지역정치체의 봉건
│제5장│西周의 監과 그 기능
제1절 三監說話에 보이는 監
제2절 西周 金文에 보이는 監
제3절 監의 직무와 기능
│제6장│圖象에 보이는 상주 국가와 지역정치체
제1절 氏族 표지로서의 圖象
제2절 殷墟에서 발견된 圖象
제3절 周原과 豊·鎬京에서 발견된 도상
1. 史牆家의 사례
2. 기타의 사례
│제7장│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