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서론
제1장 조선 후기 연초산업의 발생과 발전
1. 조선 후기 상업적 농업의 발달
2. 17세기 연초재배업의 발생
3. 18세기 연초재배업의 발전
4. 연초재배업의 재배 기술과 경영 형태
1) 재배 기술
2) 경영 형태
5. 연초 가공·판매업의 발전
1) 서울
2) 지방
6. 연초 재배에 대한 인식의 변화
제2장 개항기(1876∼1910) 외국 연초의 유입과 연초산업의 전개
1. 연초산업의 내재적 발전(1876∼1894)
1) 재배업의 발달
2) 제조업과 판매업의 전개
2. 외국의 연초산업 침투와 그 대응(1894∼1904)
1) 외국 연초의 유입과 외국 자본의 제조업 침투
2) 재배업과 제조업의 활성화
3. 연초산업 발달의 둔화(1904∼1910)
1) 일제의 연초산업 침투의 심화
2) 재배업의 위축과 제조업의 부침
제3장 1910년대 일제의 연초산업 통제와 조선인 제조업의 몰락
1. 일제의 농업 정책과 연초재배업의 재편
1) 1910년대 일제의 농업 정책
2) 연초재배업의 재편
2. 조선인 제조업자의 몰락과 판매업의 재편
1) 「연초세령」의 공포와 제조업의 몰락
2) 일본인 제조업자의 진출과 노동쟁의
3) 판매업의 재편과 조선 연초상인의 저항
3. 연초세율의 인상과 조선인의 저항
1) 조선총독부 무역 정책의 변화
2) 연초세율의 인상
3) 조선인의 저항
제4장 1921년 연초전매제 실시와 조선인 연초산업의 파국
1. 연초전매제 실시와 연초산업의 통제
1) 재배업의 경우
2) 제조업의 경우
3) 판매업의 경우
2. 연초경작자의 존재 형태
1) 경작 통제와 경작지 지정
2) 열악한 수납가와 경작 이익의 감소
3) 전업농가의 쇠락과 재배 면적의 감소
3. 조선총독부 전매 수입의 증가와 무역구조의 재편
1) 조선총독부의 재정 정책
2) 수탈의 강화와 전매 수입의 증가
3) 무역구조의 재편
4. 연초전매제에 대한 조선인의 저항과 조선총독부의 탄압
1) 연초재배업 통제에 대한 저항
2) 「조선연초전매령」위반과 조선총독부의 탄압
3) 「조선연초전매령」"에 대한 조선인의 저항
결론
보론: 조선 후기 담배의 급속한 보급과 사회적 영향
1. 머리말
2. 17세기 동북아시아의 문제아: 담배
3. 조선에서의 담배의 전래와 급속한 보급
1) 담배의 전래 시기
2) 담배의 급속한 보급
4. 담배의 급속한 보급에 따른 경제적 변화
1) 담배 생산단지의 출현
2) 담배 유통의 활성화
5. 가부장제의 강화에 따른 사회적 변화
1) 흡연 예절의 강요
2) 신분에 따른 담뱃대 사용
3) ‘호랑이 흡연’ 민화의 등장과 의미
6. 맺음말
부록
1. 「연초세법(煙草稅法)」(1909년 2월, 法律 제4호)
2. 「연초세령(煙草稅令)」(1914년 3월, 制令 제4호)
3. 「조선연초전매령(朝鮮煙草專賣令)」(1921년 4월, 制令 제5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