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번역총서 1권. 1장 '조선왕조와 우산도 삼봉도', 2장 '에도시대 조일관계와 울릉도=죽도', 3장 '죽도 도해면허장을 둘러싼 제문제', 4장 '竹島一件을 둘러싼 조일교섭', 5장 '메이지유신기의 죽도.송도를 둘러싼 문제 등으로 구성되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역자 서문
머리말 독도=죽도의 지리적 개관

제1장 조선왕조와 ‘우산도’ ‘삼봉도’
1-1. ‘우산도’에 대해
1-2. ‘삼봉도’를 둘러싼 논쟁

제2장 에도시대 조일관계와 울릉도=‘죽도’
2-1. 조일양국의 울릉도인식
2-2. 에도시대 외교구조-막부와 쓰시마번

제3장 ‘죽도’도해면허장을 둘러싼 제문제
3-1. 에도기의 ‘기죽도(磯竹島)’(울릉도)를 둘러싼 조일교섭
3-2. ‘죽도’도해면허장의 발급
3-3. 도해면허장 발급의 이유

제4장 ‘竹島一件’을 둘러싼 조일교섭
4-1. 조일교섭의 개시까지의 경위
4-2. 조일 교섭의 개시 (제1차 교섭)
4-3. 새로운 답신을 둘러싼 교섭(제2차 교섭)
4-4. ‘죽도’도해 금지를 향한 움직임
4-5. 죽도일건의 낙착
4-6. ‘죽도’도해금지령 후 막부의 단속
[칼럼] ‘죽도’도해의 실제 (간분(寬文) 6년의 사례)
<보론1> ‘송도’도해의 가능성은 있었는가?
<보론2> 안용복 내항사건
<보론3> 『은주시청합기』의 해석을 둘러싸고

제5장 메이지유신기의 ‘죽도·송도’를 둘러싼 문제
5-1. 도명의 교체와 혼란
5-2. ‘죽도외일도’에 대한 태정관 결정

제6장 죽도영유의 내각결정과 공시를 둘러싼 문제
6-1. 울릉도의 일본인
6-2. 독도=죽도(리양코:リヤンコ島)와 어업
6-3. ‘리양코섬영토편입 및 대여원’과 정부관료
6-4. ‘각의 결정’과 ‘시마네현 고시’
6-5. 「대한제국칙령 제41호」와 ‘석도’논쟁
6-6. 공시(公示) 방법은 적절했던가?
6-7. 『산음신문(山陰新聞)』에 의한 보도
6-8. 편입 논리와 수속의 타당성에 대해서
<보론4> 시마네현 독도 시찰단의 울릉도 방문을 둘러싸고

제7장 한일관계의 역사 속에 자리매김하여 생각한다
7-1. 20세기 초기의 조일관계
7-2. 러일전쟁과 「한일 의정서」 강요
7-3. 제1차 한일협약과 ‘고문정치’
7-4. 제2차 한일협약(을사보호조약)의 강요
7-5. 제2차 한일협약의 조인 강요의 현장
7-6. 을사보호조약의 내용과 그 후의 수속
7-7. 을사보호조약에 대한 한국 국민의 저항
7-8. 일본에 대한 항의의 가능성(정리)

맺음말
집필후기
주요한 참고문헌
<부록1> 1906(메이지 39)년 시마네현 시찰단의 기록
<부록2> 「죽도도항일기(竹島渡航日記)」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일본의 독도 ·  간도침략 구상 : 「島根県告示40號」·「朝鮮間島經營案」 일본의 독도 · 간도침략 구상 : 「島根県告示40號」·「朝鮮間島經營案」 2010 / 최장근 저 / 백산
(대한민국) 독도  : 일본 논리의 종언 (대한민국) 독도 : 일본 논리의 종언 2010 / 호사카 유지 ; 세종대 독도종합연구소 지음 / BM성안당
(대한민국) 독도  : 일본 논리의 종언 (대한민국) 독도 : 일본 논리의 종언 2010 / 호사카 유지 ; 세종대 독도종합연구소 지음 / BM성안당
독도의 진실  : 독도는 우리 땅인가 독도의 진실 : 독도는 우리 땅인가 2012 / 강준식 지음 / 태일소담
독도의 진실  : 독도는 우리 땅인가 독도의 진실 : 독도는 우리 땅인가 2012 / 강준식 지음 / 태일소담
대마도 독도 영유권 주장 대마도 독도 영유권 주장 2013 / 김화홍 지음 / 경남
대마도 독도 영유권 주장 대마도 독도 영유권 주장 2013 / 김화홍 지음 / 경남
(독도=죽도 문제) '고유영토론'의 역사적 검토 (독도=죽도 문제) '고유영토론'의 역사적 검토 2013 / 다케우치 다케시 저 ; 송휘영, 김수희 역 / 선인
독도학  : 독도영유권 확보를 위한 다학문적 이해와 접근 독도학 : 독도영유권 확보를 위한 다학문적 이해와 접근 2017 / 지음: 채형복 ; 전현수 ; 추연식 ; 이정태 / 동방문화사
이사부 독도를 걷다 이사부 독도를 걷다 2020 / 지음: 손승철 / 역사인
(일본 학자가 보는) 독도의 역사학적 연원 (일본 학자가 보는) 독도의 역사학적 연원 2013 / 송휘영 엮음 / 지성인
(일본 학자가 보는) 독도의 역사학적 연원 (일본 학자가 보는) 독도의 역사학적 연원 2013 / 송휘영 엮음 / 지성인
불편한 동해와 일본해 = Uncomfortable history of East sea and sea of Japan  : 고대에서 현대까지 동해와 일본해 지명을 역사적으로 추적 불편한 동해와 일본해 = Uncomfortable history of East sea and sea of Japan : 고대에서 현대까지 동해와 일본해 지명을 역사적으로 추적 2017 / 지음: 심정보 / 밥북
독도실록 1905 독도실록 1905 2012 / 예영준 저 / 책밭
독도실록 1905 독도실록 1905 2012 / 예영준 저 / 책밭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독도에 관한 국제법적 쟁점 연구 독도에 관한 국제법적 쟁점 연구 2013 / 정갑용 지음 / 경인문화사
독도, 1500년의 역사 독도, 1500년의 역사 2016 / 지음: 호사카 유지 / 교보문고
(일본 학자가 보는) 독도의 역사학적 연원 (일본 학자가 보는) 독도의 역사학적 연원 2013 / 송휘영 엮음 / 지성인
하치에몽과 죽도도해금지령 : 이마즈야 하치에몽의 죽도사건과 근세해운 하치에몽과 죽도도해금지령 : 이마즈야 하치에몽의 죽도사건과 근세해운 2016 / 지음: 모리스 가즈오 ; 옮김: 김수희 / 지성인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 바람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 바람 2016 / 이이화 지음 / 한길사
(미래를 여는)한국의 역사. 1-5 : 원시시대에서 남북국시대까지 : 고려시대 (미래를 여는)한국의 역사. 1-5 : 원시시대에서 남북국시대까지 : 고려시대 2011 / 지은이: 김인호, 임용한, 한정수 ;, 기획: 역사문제연구소 / 웅진씽크빅
(미래를 여는)한국의 역사. 1-5 : 원시시대에서 남북국시대까지 : 고려시대 (미래를 여는)한국의 역사. 1-5 : 원시시대에서 남북국시대까지 : 고려시대 2011 / 지은이: 김인호, 임용한, 한정수 ;, 기획: 역사문제연구소 / 웅진씽크빅
민음 한국사. 2:, 16세기 성리학 유토피아 민음 한국사. 2:, 16세기 성리학 유토피아 2014 / 강응천, 권소현, 송웅섭, 염정섭, 오상학, 정재훈, 한명기, 한필원 ; 편저: 문사철 / 민음사
요동고구려 산성을 가다 : 73개 고구려 산성 현장답사 요동고구려 산성을 가다 : 73개 고구려 산성 현장답사 2018 / 지음: 원종선, 서문: 김용옥 / 통나무
조선 왕을 말하다. 1 : 이덕일 역사평설 조선 왕을 말하다. 1 : 이덕일 역사평설 2015 /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조선의 딸, 총을 들다 조선의 딸, 총을 들다 2016 / 정운현 지음 / 인문서원
역사로 남은 조선의 살인과 재판 역사로 남은 조선의 살인과 재판 2013 / 이번영 지음 / 이른아침
1923 경성을 뒤흔든 사람들 1923 경성을 뒤흔든 사람들 2016 / 김동진 지음 / 서해문집
퍼펙트 조선왕조 : 정도전과 조선왕조의 숨겨진 역사의 현장. 2 퍼펙트 조선왕조 : 정도전과 조선왕조의 숨겨진 역사의 현장. 2 2014 / 이준구, 강호성 [공]지음 / 스타북스
한국사에 감동하다 : 세계에 자랑해도 좋을 감동의 역사를 읽는다! 한국사에 감동하다 : 세계에 자랑해도 좋을 감동의 역사를 읽는다! 2015 / 지음: 원유상 / 좋은날들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4, 개항에서 강제 병합까지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4, 개항에서 강제 병합까지 2011 / 정숭교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경성 모던타임스 경성 모던타임스 2014 / 박윤석 지음 / 문학동네
한국 고대 왕조사 탐색 : 삼국유사주의를 그리며 한국 고대 왕조사 탐색 : 삼국유사주의를 그리며 2013 / 김영태 지음 / 동국대학교출판부
(오직 한 사람을 위한 시대)유신 (오직 한 사람을 위한 시대)유신 2014 / 한홍구 지음 / 한겨레출판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