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집단화 제재 소설들은 당시 전 사회주의권의 정치, 경제, 문화 및 이데올로기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문학텍스트이다. 저자는 이와 같은 중대한 제재의 장편소설들에 대한 비교 연구를 하였다.
목차
머리말 차례
제1장 서론 1.1 연구대상 및 연구현황 1.1.1 연구대상 1.1.2 연구현황 1.2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1.2.1 연구목적 1.2.2 연구방법
제2장 북한 농업협동화 운동의 이론 및 실천 배경 2.1 이론적 배경 2.1.1 마르크스-엥겔스의 과도기이론 2.1.2 레닌의 과도기이론 2.1.3 스탈린의 과도기이론 2.1.4 등소평의 사회주의 초급단계이론 2.2 실천적 배경 2.2.1 소련의 농업집단화 2.2.2 중국의 농업합작화 2.3 농업집단화 운동에 대한 평가 및 심각한 교훈
제3장 북한 농업협동화 운동과 그 서사적 대응 3.1 북한의 농업협동화 3.1.1 농업협동화론의 대두 3.1.2 농업협동화 과정 및 특점 3.2 전후 북한의 문예정책 3.3 북한 농업협동화에 대한 서사적 대응 3.3.1 농업협동화를 제재로 한 소설문학의 출현 3.3.2 농업협동화에 대한 ≪석개울의 새봄≫의 대응 양상
제4장 ≪석개울의 새봄≫의 인물유형 및 비교학적 고찰 4.1 ≪석개울의 새봄≫의 인물유형 4.1.1 농업협동화를 주도하는 인물형상 4.1.2 농업협동화에 태도가 다른 각이한 계층의 농민 형상 4.1.3 농업협동화를 반대하고 파괴하는 인물형상 4.2 농업집단화 제재 소설의 인물유형의 의미
제5장 ≪석개울의 새봄≫의 갈등 양상 및 비교학적 고찰 5.1 ≪석개울의 새봄≫의 갈등 양상 5.1.1 적대적 갈등 5.1.2 비적대적 갈등 5.2 농업집단화 제재 소설의 갈등 양상의 의미
제6장 ≪석개울의 새봄≫의 주제 및 비교학적 고찰 6.1 시대의 공명(共名)과 작품의 주제적 성향의 함수관계 6.2 작가 천세봉의 태도와 입장으로부터 본 ≪석개울의 새봄≫의 주제 6.3 독자들에 의해 해석되는 ≪석개울의 새봄≫의 주제 6.4 ≪석개울의 새봄≫의 주제에 대한 비교학적 고찰
'중심'의 회복을 위하여 = On the way to the axis mundi, the sacred center of the world reading comtemporary novels through myth and symbol : 신화와 상징으로 현대소설 읽기2014 / 민혜숙 [지음] / 소명
쾌족, 뒷담화의 탄생 : 살아있는 고소설2014 / 지음: 이민희 / 푸른지식
텍스트와 콘텍스트, 혹은 한국 소설의 현상과 맥락 : 손정수 평론집2016 / 지은이: 손정수 / 자음과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