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소화약제화학 기초 이론
1.1 원소주기율표
1.2 원자 모형과 전자의 배치
1.3 보어의 수소 원자 모형
1.4 전자배치
1.5 전기음성도
1.6 분자
1.7 분자의 결합식
1.8 분해 및 결합
1.9 연소한계
Chapter 2. 소화약제 총론
2.1 화재
2.2 열전달
2.3 소화이론 및 소화원리
2.4 소화약제의 정의와 분류
2.5 소화약제
2.6 소화약제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
Chapter 3. 소화기구
3.1 능력단위 구분
3.2 소화기의 종류별 소화약제
3.3 방출방식에 의한 분류
3.4 능력단위별 수량산정
3.5 수동식소화기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
Chapter 4. 물소화약제
4.1 개요
4.2 물의 물리적 성질
4.3 물의 화학적 성질
4.4 물이 표면장력이 크고 큰 비열을 갖는 이유
4.5 물의 열역학적 성질
4.6 물의 주수형태
4.7 소화효과
4.8 소화능력 개선을 위한 첨가제
4.9 특수화재와 물
4.10 수계 소화설비의 종류별 수원량
4.11 미분무수 소화설비
Chapter 5. 포(foam) 소화약제
5.1 정의
5.2 포소화약제의 분류방법
5.3 포소약제의 종류 및 소화작용
5.4 포소화약제의 수원의 양 및 약제량
5.5 포소화약제의 환경성 규제
5.6 포소화약제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
Chapter 6. 가스계 소화약제
6.1 지구온난화 영향
6.2 Ozone의 생성과 Ozone층의 구조
6.3 지구온난화
6.4 환경 영향성
Chapter 7.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7.1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7.2 물리화학적 성질
7.3 소화작용
7.4 소화농도
7.5 적응화재
7.6 비적응성
7.7 압력의 배출(Pressure Relief Venting)
7.8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저장량
7.9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저장 및 방출방식
7.10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
Chapter 8.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8.1 소화의 원리
8.2 할론소화약제의 특성
8.3 할론소화약제의 소화농도
8.4 약제방출방식
8.5 할론의 적응성 및 비적응성
8.6 가압방식
8.7 방출방식
8.8 할론소화약제의 문제점
8.9 할론가스의 유해성
8.10 할론겐화합물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7)
Chapter 9. 청정소화약제
9.1 청정소화약제의 개요
9.2 청정소화약제의 특성
9.3 청소소화약제의 종류
9.4 소화약제의 명명방법
9.5 할론 대체물질 신제품 개발동향
9.6 2세대 할론 대체물질
9.7 국내고시 청정소화약제
9.8 청정소화약제 최대허용설계농도
9.9 청정소화약제의 약제량 산정
9.10 청정소화약제의 사용시 문제점
9.11 불황성가스 청정소화약제
9.12 고체 에어로졸 소화장치(Aerosol Generator)
9.13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7A)
Chapter 10. 분말소화약제
10.1 개요
10.2 소화효과
10.3 분말소화약제의 종류
10.4 분말소화약제별 소화특성
10.5 용기 Unit
10.6 설비의 구분
10.7 분말소화약제의 요구조건
10.8 소화약제량 산정
10.9 금속화재 소화약제
10.10 분말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8)
기출문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