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지금 한국 사회에는 중국이 주변국을 조공국으로 만들 것이라는 신중화질서론, 막연한 소망을 담은 중국붕괴론, 근거 없는 자신감에 기초한 중국기회론 등 수많은 오해들이 난무하고 있다. 중국의 현재와 미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중국에 대한 편견들부터 바로잡아야 한다. 중국 정치 권위자 조영남 교수와 함께 10년 후, 20년 후 중국의 미래를 들여다본다.
목차
우리의 눈으로 중국 읽기
1부 한국을 덮고 있는 거대한 비룡(飛龍)
1 난무하는 가설과 보기 드문 진실
중국의 부상을 바라보는 3가지 시선
미국과 중국, 어느 쪽인가?
2 중국에 대해 던져야 할 4가지 질문
2부 ‘불완전한’ 세계 강대국
3 지역 강대국에서 세계 강대국으로
세계의 공장에서 세계의 시장, 투자자, 규칙 제정자로
중국의 경제성장은 계속될 것인가?
아시아의 군사 강국
제3세계의 ‘모범 국가’
중국의 부상이 다른 강대국과 다른 3가지 특징
4 세계는 중국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미국, 중국의 부상을 막아라!
자국 문제만으로도 벅찬 일본
아세안 국가들의 3대 대응 전략
5 ‘신중화질서’가 등장할 것인가?
동아시아 지역 질서를 좌우하는 4가지 요소
10년 뒤 동아시아의 모습
20-30년 뒤 동아시아에서 중국의 역할
꼭 알아야 할 3가지 시사점
3부 ‘2020 프로젝트’의 실체
중국의 부상은 우연인가, 필연인가?
6 중국의 현실 진단
중국은 전략적으로 어떻게 사고하는가?
7 중국의 국가 발전 전략
정치 개혁은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다
경제성장 지상주의에서 ‘조화사회’로
외교 전략: ‘평화 발전’의 목적은 무엇인가?
8 10년 뒤 중국
중국 발전 전략의 성과와 한계
중국은 소련처럼 망할 것인가, 계속 번영할 것인가?
4부 공산당 일당독재, 지속할 수 있을까?
9 중국이 정치 안정을 유지할 수 있는 비결
정치: 안정된 엘리트 정치와 굳건한 지배 연합
행정: 통치 체제의 강화와 제도화
통치 이념의 변형
무엇이 중국의 정치 안정을 위협하는가?
10 중국은 정치 후진국인가?
전체주의에서 권위주의로
동아시아 정치 발전의 두 가지 길
중국 정치, 어디까지 발전했는가?
중국의 정치 발전 전략, 무엇이 문제인가?
중국의 민주화는 가능할까?
중국 정치의 4가지 시나리오
11 중국공산당의 성공 비결
유능한 통치 엘리트
안정적인 권력 교체, 어떻게 가능한가?
공산당의 당내 민주화
5부 바람직한 중국 정책 ‘3중주’
12 한중 관계의 특징
교류의 주체와 영역의 급속한 확대
영역별 불균등한 발전의 심화
공식 규정과 실제 관계의 괴리
국력 격차와 비대칭성 확대
13 한중 관계의 3가지 주요 쟁점
북한과 중국의 관계
한미동맹, 어떻게 끌고 가야 하나?
가치관의 충돌
14 중국 정책, 어떻게 세워야 하나?
중국 정책의 출발점
바람직한 중국 정책
잘못된 ‘상식’부터 버려야 한다
용어 설명
참고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