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유아는 호기심과 탐구심을 가지고 태어난다. 사물을 움직여보고 조사하고 분해하며, ‘어떻게’와 ‘왜’를 찾는다. 삶을 배운다는 것은 늘 기초 물리를 사용한다는 것과 같은 의미다. 어린 자연탐구가들과 함께한다면 학교에 다니면서 많은 것을 잃어버린 어른들의 눈앞에도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 이 ‘세상 알아가기’에서는 지식이나 사실, 공식은 중요치 않다. 특별한 관심, 의문 갖기와 생각하기, 탐구와 열린 실험, 그리고 사물에 대한 새로운 시선 그 자체가 중요하다.
목차
들어가면서 콜럼버스! 꼬마 콜럼버스들!
나는 자연과학에는 관심 없어
기초적인 자연 탐구: 기억의 언어
유아기의 관심에 주목하기
거대한 아름다움
이야깃거리
실험하며 세상에 대해 알아가기
여러 가지 언어로 스스로 생각하는 아이
다른 나라의 조기 자연과학 교육 살펴보기
자극제
우리 아이는 철학자
자연 탐구는 평생 계속된다
궁금해해야 보인다
1 눈살 찌푸리기, 성공의 미소 짓기: 유아들의 자연 탐구
유아의 분류체계, 직관적 물리학과 생물학
유아는 호기심, 사교성, 능력을 갖춘 인식하는 존재
유아의 관심
주의력을 높이는 것은 장난감이 아니라 의사소통
유아의 호기심을 성인의 지혜와 통합하기
전두엽에 나란히 위치한 기억과 감정 중추
유아는 자기 실험의 전문가
학습하는 가정, 연구하는 유아원?
2 멈춰 서기에서 감탄하기와 관찰하기까지
세상을 확대하는 시선
유아기의 자연 관찰과 자연과학의 유아기
과학적 주의력의 역사에 대하여
자연에 남겨진 신의 흔적: 바로크 문학
하이쿠에 나타난 ‘기초 물리’
미취학 아동들은 자세히 들여다본다!
3 동물의 메시지
메뚜기 수영교실
우리보다 낮은 곳에 있는 동물들: 비유, 일상 표현, 속담
4 일상의 물리와 화학: “그건 외울 필요가 없어요, 해봤으니까요.”
그네
시소
청소
아이들은 강렬한 감정을 찾는다: 탐구에 필요한 강렬한 감정
연금술, 부엌의 화학, ‘물질 전환’
집짓기
신체 그리고 나의 집
일상 표현, 속담, 비유에 등장하는 자연과학 지식
5 자연은 질문하는 언어로 대답한다
실험에 대하여
독일 최초의 실험물리학자 게오르크 크리스토프 리히텐베르크
엉망진창일 수도 있겠지만 우리는 실험이라 말했습니다
야외에서
아이들은 더 이상 초보자가 아니에요
유년기의 물웅덩이와 유리 수조: 곤충학자 장앙리 파브르
6 세상을 더 낫게: 발명과 기술의 꿈
레오나르도 다빈치, 경험의 학생
비행과 ‘풍선 단위’
‘이게 될까?! 유치원에서 배우는 기술’: 초등학교에서 하는 ‘고장내보기’
우리가 아는 것: 일상 표현과 비유에 나타난 수공업, 재료의 특성과 기술
7 즉흥적인 자연 탐구에서 자연과학으로
유년기의 달과 물리의 달
현대 자연과학의 탄생과 유아의 자연과학적 사고 발달
사물 안에는 더 많은 것이 들어 있다
더듬거리기. 모국어, 사투리와 전문용어
기초 자연 탐구와 새로운 물리
우리는 미지의 거대한 영역을 아이들에게 숨기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대답을 주는 학교가 아니라 질문을 하게 하는 학교다
자연과학의 영재는 없습니다
8 세계 여러 나라의 자연과학 교육
프랑스의 교육 프로그램 ‘라멩알라파트’: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자연과학
기록일지: 프랑스 유치원에서 본 단점, 독일 실정과 비슷한 점들
오늘날 중국의 유아기: 두 살 아이들을 위한 속성반
중국에는 질문하는 문화가 필요하다
급진적 지식의 추구는 유럽에만 있었다
일본의 유치원: 자유로운 질문을 막다
마치면서 독일, 새로운 착상
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