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지역문화 콘텐츠로서 마을 민속
1부 지역문화 콘텐츠 제작을 위한 스토리텔링
지역문화를 바라보는 시각
지역문화를 스토리텔링하는 개념
지역문화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방법
지역문화 스토리텔링을 넘어서
2부 검단의 기억과 이야기 기술: 마을지
제1장 하늘이 밝힌 마을 검단
어저귀의 넓은 밭, 마전동
높은 산과 깊은 골, 대곡동
불로초와 장수의 비밀, 불로동
선사시대의 발견, 원당동
제림산이 감싸 안은 마을, 당하동
제2장 선조들이 남긴 아름다운 유산
검단의 시간을 품다, 木: 검단의 보호수
검단의 혼과 얼을 담다, 墓와 堂: 검단의 유물·유적
검단의 귀감이 되다, 孝와 烈: 검단의 정려
검단의 풍년을 노래하다, 樂: 인천무형문화재 18호 ‘서곶들노래’
제3장 자연을 숭배하고 조상을 모시는 마음
시제, 뿌리를 지키는 지혜
마을 신앙으로서 동제와 산고사
가신 신앙, 가족을 지키는 마음
정월 대보름, 검단을 비추는 소망의 빛
제4장 예부터 내려온 검단의 이야기
호랑이와 형제가 된 나무꾼: 가현산 호랑이
불로장생의 전설, 만수산: 불로리 효자와 불로리 노부부 전설
스님이 키운 지팡이, 은행나무: (대곡동) 두밀 은행나무
구슬을 빼앗긴 여우의 한: 여우재고개 전설
하늘에 이르는 길, 하누재고개: 하누재고개 전설
3부 지역문화 스토리텔링의 실제: 검단의 기억과 이야기의 재구성
제1장 신의 미소, 인간의 흔적을 만들다(설화의 재구성)
놋그릇이 묻힌 연못 이야기
장산의 연못에 얽힌 의로운 현선 이야기
좌동호수의 전설
두밀 분틀메의 전설
김포에 있는 네 개의 수호산
여우재고개에 얽힌 슬픈 사랑이야기
하누재고개
두밀의 은행나무 전설
여래마을에 얽힌 장화 이야기
완정마을의 전설
양반과 노비가 서로 배려하는 태정마을
오류동의 천하장사 두 형제 이야기
효의 의미를 깨우쳐 준 가현산 호랑이
부엉이에 대한 하늘의 경고, 봉바위
제2장 자연의 섭리, 땅의 이름을 붙이다(지명의 재구성)
수목이 풍부한 원당동 이야기
불로동의 유래
당목이 있는 불로동 목지
제3장 우주의 질서, 인간을 관계 짓다(문화재와 민간신앙의 재구성)
부모님 살아계실 제 섬기기를 다하여라
검단의 기억이 머무르는 나무
무명지를 걸고 맹세한 사랑
한해의 마무리, 새해의 시작
당산신께 비나이다
목지마을 당제와 돼지농장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