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면서
제1장 생명이 살아 숨 쉬는 행성
1. 기적의 행성, 지구
지구와 닮은 행성들
지구형 행성의 환경
지구의 대기는 이질적이다
기적의 행성, 지구
2. 온실효과란?
태양복사와 지구복사의 균형
행성의 환경을 좌우하는 세 가지 요인
금성과 화성의 유효온도
3. 바다의 존재
금성과 화성에도 바다가 있었다
한랭화가 진전되는 지구의 상태
온난화로 바다가 사라지는 시나리오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조건
제2장 대기와 해양의 기원
1. 바닷물은 왜 짤까?
바닷물의 성분 구성이 바뀌지 않는 이유는?
원소의 공급원
원래부터 바닷물은 짰다
2. 대기와 해양은 언제, 어떻게 생겨났을까?
대기 형성의 수수께끼를 푸는 열쇠, 희유기체
지구 대기의 2차 기원설
동위원소의 비에 주목한다
아르곤40
초기 대규모 탈가스설
수증기 때문에 일어나는 온실효과의 폭주
거대 충돌과 온실효과의 폭주 상태
3. 초기 지구의 환경
생명의 기원과 초기 지구의 대기
지구 최고最古의 암석
운석 대충돌
제3장 지구환경의 안정화 요인은 무엇인가?
1. 어두운 태양의 패러독스
현재의 70퍼센트였던 태양의 밝기
혼실효과를 상승시키는 기체
2. 탄소순환이란?
탄산염 광물과 규산염 광물
이산화탄소의 고정
3. 지구환경이 안정된 이유
풍화작용
워커 피드백
4.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천
지구는 식어가고 있다
대륙 성장 모델
대략적으로 본 지구환경의 변천
5. 메탄의 역할
고古이산화탄소의 농도의 추정
메탄균
메탄의 역할
제4장 생명의 탄생과 산소의 증가
1. 광합성 생물의 탄생
산소 발생형 광합성 생물
생물의 화석인가, 아닌가?
시아노박테리아는 언제 출현했는가?
2. 산소 농도의 변화
스테이지Ⅰ-빈산소貧酸素 상태
스테이지Ⅱ-일부 빈산소 상태
스테이지Ⅲ-산소가 풍부한 상태
3. 산소의 급격한 증가
대산화 사건
황 동위원소 비의 이상
산소 농도는 왜 늘어났는가?
산소 농도의 수수께끼
제5장 극적으로 변화한 기후의 역사
1. 기후변동의 열쇠, 이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감 이유
기후의 안정과 변동을 가져오는 하나의 원리
2. 반복되는 빙하시대
대륙 빙하의 성장
빙하시대 특유의 퇴적물
지금도 지구는 ‘빙하시대’
3. 생물이 거대했던 대빙하시대
육상 식물의 등장
대빙하시대의 도래
습지대에 매몰된 육상 식물
육상 식물 때문에 높아진 풍화 효율
거대해진 곤충
4. 공룡의 번성과 초온난화
온난했던 중생대
슈퍼 플룸
해양 무산소 사태
온난화가 초래한 해양 무산소 사태
고위도 지역도 따뜻했다
5. 히말라야의 융기가 야기한 한랭화
신생대 후기 빙하시대
히말리야 산맥, 티베트 고원의 융기와 한랭화
한랭화가 더 진전되다
제6장 눈덩이 지구
1. 원생대 빙하시대의 수수께끼
빙하 퇴적물과 탄산염암
저위도 빙하의 의미
2. 눈덩이 지구 이론
눈덩이 지구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 이유
얼음 행성
탄산염암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일반적으로는 생각할 수 없는 탄소 돔위원소 비의 값
3. 그때 생물들은?
소프트 눈덩이 지구 이론
얼음 밑에서도 생물이 활동할 수 있는 조건
4. 파국적인 지구환경의 변동과 생물의 대진화
칼라하리 망간 광상
시아노박테리아의 탄생이 눈덩이 지구의 원인?
6억 년 전의 다세포생물 화석
생물 대진화의 원인
제7장 공룡의 멸종을 초래한 소행성의 충돌
1. 소행성 충돌설
공룡은 왜 멸종했을까?
이해할 수 없는 이리듐의 농도
칙슐럽 크레이터
2. 스트레인지러브 오션
소행성 충돌이란 어떤 현상인가?
생물 펌프의 정지
바다 생물의 대량 멸종
‘충돌 겨울’은 있었는가?
3. 해양 충돌
총돌 해일
심해성 해일 퇴적물
반복된 해일
천체 충돌은 당연한 현상
제8장 그리고 현재의 지구환경
1. 빙하기와 간빙기는 규칙적으로 찾아오는가?
산소 동위원소 비의 변동과 빙하기·간빙기 사이클
밀란코비치 가설
이산화탄소는 어디로?
2. 갑자기 찾아온 한랭화 - 영거 드라이아스
컨베이어 벨트
다시 추워진 이유는?
클로비스 문화의 소멸과 천체 충돌 그리고 갑작스러운 한랭화
3. 안정된 기후와 인류 문명의 번영
단스가드 오슈가 이벤트
기후 점프
간빙기의 기후는 안정적이었나?
4. 앞으로의 지구환경 - 과거로부터의 가르침
참고문헌
후기
옮긴이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