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서구 페미니즘 이론을 정리ㆍ요약하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한국이라는 특수한 토양에서 자라고 성장한 우리 페미니즘의 결실을 담아낸 결과물이다. 한국의 페미니즘은 텍스트와 강의실 너머 사회문화 전반에 걸친 각종 이슈와 현상에 비판적으로 개입하면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고자 노력해왔다. 이 책은 다양한 영역에서 울리는 이러한 목소리들을 모아 ‘오늘ㆍ여기ㆍ우리’ 페미니즘의 전체적인 지도를 그려본다.
목차
책머리에·차이와 사이를 횡단하고 접목하고 또 만들고 / 이희원
1부 젠더ㆍ섹슈얼리티ㆍ육체
페미니즘과 퀴어 이론: 테레사 드 로레티스, 이브 세지윅, 주디스 버틀러를 중심으로 / 윤조원
남성, 남성성, 페미니스트 이론 / 이명호
현대 여성의 새로운 히스테리, 거식증: 여성의 몸과 욕망 / 박주영
자아로부터의 비상, 에로스 / 최성희
노년 여성을 위한 나라는 없다: 타자, 노년 여성, 페미니즘 / 연점숙
‘꽃미남’과 ‘식스팩’: 대중문화 속 오늘의 남성성 / 윤조원
2부 지구화ㆍ(탈)민족ㆍ여성의 삶
민족경계 안팎의 여성과 남성: 민족주의와 젠더 / 박미선
베일 속에는 이슬람도, 여성도 없다 / 오은경
이주여성 노동자의 주변화와 행위주체성 / 이선주
‘아시아 여성주의 문화연구’를 구축하기: 비교문화적 사유와 상상력 / 태혜숙
번역, 이산 여성 주체의 이언어적 받아쓰기: 테레사 학경 차의 『딕테』 / 이명호
3부 신화ㆍ종교ㆍ윤리
레비나스, 타자 윤리학, 페미니즘 / 이희원
여신 신화와 새로운 상징질서 찾기 / 박정오
모성 서사와 그 불만: 『엄마를 부탁해』와 마더에 나타난 모성 이데올로기 비판의 문화지형 / 조선정
배려의 윤리와 정의의 윤리: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 / 김종갑
4부 자연ㆍ과학기술ㆍ여성
생태 파괴 시대의 페미니즘 / 박혜영
과학기술 시대의 페미니즘과 사이보그론 / 장정희
페미니스트 신재생산기술 담론의 정치성 / 정문영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글쓴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