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통일을 위한 논의에 새로운 시각을 불어넣기 위해 기획된 이 책은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명예교수인 이태진을 주축으로 역사학자 노태돈, 도진순이 한편을 이루고, 오랫동안 국제 정치 역학을 중심으로 한반도 정세와 통일을 연구해 온 서울대 외교학과 하영선 교수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자 고유환, 조동호가 짝을 이뤄 열두 시간에 걸쳐 역사적, 국제 정치적 관점에서 통일을 논한 좌담을 역은 것이다.
목차
책을 내면서
1 오늘의 북한과 천안함 사태 2 고대부터 현대까지 동아시아 국제 관계의 전개 3 북중 관계의 변천과 미국 4 글로벌 경제 체제 형성과 새로운 통일 개념의 필요성 5 주변 열강들과의 관계와 21세기 동아시아 정세 6 중국의 전통 외교술과 『열하일기』의 외교 전략 7 동아시아 냉전 체제의 형성과 분단 한반도 8 북한의 생존 전략과 주체 선군 정치 9 21세기 동아시아 질서와 한반도 통일안
후기 - 좌담회 직후에 일어난 북한의 급변상 남북 관계 연표
서가브라우징
제주 특별자치와 평화의 섬2019 / 지음: 양길현 / 오름
(벼랑끝에 선) 한국의 자유민주주의2017 / 지은이: 양동안 / 인영사
양손잡이 민주주의 : 한 손에는 촛불, 다른 손에는 정치를 들다2017 / 지음: 최장집, 서복경, 박찬표, 박상훈 / 후마니타스
우상와 이상 사이에서 : 민주화 시대의 이데올로기들에 대한 비판적 성찰2007 / 양승태 지음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6년 종로, 노무현과 이명박 : 엇갈린 운명의 시작2018 / 지음: 양원보 / 위즈덤하우스
대통령 세종 : 세종대왕에서 찾는 국가경영리더십2017 / 지은이: 양형일 / 밥북
(탄핵, 그 혼돈의 내막)3월9일부터 5월14일까지2004 / 엄광석 지음 / 청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역사학자와 사회과학자가 나눈) 12시간의 통일 이야기2011 / 이태진 ; 하영선 외 지음 / 민음사
윤석열X파일 2022 / 지음: 열린공감TV 취재팀 / 열린공감TV
통일사회로의 발돋움, 그 성공을 위하여2007 / 오기성 / 양서원
선진국 한국의 우울2015 / 지음: 오니시 유타카 ; 옮김: 박연정 / 예문
한국의 좌파2011 / 오병헌 지음 / 기파랑
한국의 좌파2011 / 오병헌 지음 / 기파랑
그해 오월 나는 살고 싶었다 : 죽음으로 쓴 5.18민중항쟁 증언록. 12006 / 5.18민주유공자유족회 구술 ; 5.18기념재단 엮음 / 한얼미디어
그해 오월 나는 살고 싶었다 : 죽음으로 쓴 5.18민중항쟁 증언록. 22006 / 5.18민주유공자유족회 구술 ; 5.18기념재단 엮음 / 한얼미디어
같이 빌린 책
모두 깜언 : 김중미 장편소설2015 / 김중미 지음 / 창비
선을 넘어 생각한다 : 남과 북을 갈라놓은 12가지 편견에 관하여2018 / 지음: 박한식, 강국진 / 부키
시선의 폭력 : 편견사회에서 장애인권 바로보기2016 / 시몬느 소스 글 ; 김현아 옮김 / 한울림스페셜
통일은 오고 있는가 : 어느 재미 정치학자의 한반도 통일 비전2015 / 나필열 지음 / 미래의창
집 떠나 집 : 하유지 장편소설2016 / 하유지 지음 / 은행나무
통일이 되면 어떻게 달라질까?2009 / 신석호, 이명혜 [공]지음 / 한림
(신세대를 위한)통일 이야기2004 / 차종환 ; 김용현 ; 장봉수 편저. / 예가
(한반도 전문가 30인에게) 김정은 체제의 미래를 묻다 = Ask the 30 experts in Korean peninsula about the future of Kim Jung Eun's regime2012 / 임을출 지음 / 한울
통일을 보는 눈 : 왜 통일을 해야 하느냐고 묻는 이들을 위한 통일론2012 / 이종석 지음 / 개마고원
미디어 법과 윤리 = Media law and ethics2016 /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미국은 왜 신용불량 국가가 되었을까?2008 / 찰스 R. 모리스 지음 ; 송경모 옮김 / 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