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미학』을 발간하며
1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개념과 영향미학 - 퍼포먼스와 '수행적인 것'을 중심으로 / 김형기
들어가는 말
1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개념
2 포스트드라마 연극과 '수행적인 것'의 미학
3 '수행적인 것'의 미학적 토대 - 혹은 퍼포먼스 개념
4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의의와 문제점
2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수행성, 현상학적인 몸, 그리고 새로운 형이상학 / 심재민
1 포스트드라마 연극과 '몸의 연극'의 관계망, 그리고 생성중심적 양가적 사유 논리
2 포스트드라마의 양식적 특질들, 수행성, 그리고 현상학적인 몸의 현존
3 결론
3 포스트모던 댄스, 탄츠테아터, 포스트드라마 연극 / 김기란
1 탄츠테아터(Tanztheater), 인간 행위에 대한 총체적 보고서
2 포스트모던 댄스, 탄츠테아터, 포스트드라마 연극
3 탄츠테아터의 구체적인 미학적 특징과 전략 - 공감에서 각성으로
4 기술이 진화시킨 연극: 포스트드라마 연극과 미디어 / 최영주
1 미디어와 퍼포먼스의 만남
2 인터미디어 퍼포먼스 연극의 쟁점들
3 레만의 포스트드라마 연극과 미디어
4 미디어와 포스트드라마 연극 담론의 미래
5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서사적 특징 - '이야기' 할 수 없는 것을 이야기 '하기' / 최성희
1 포스트드라마 연극과 서사의 양면성
2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서사적 특징
3 무엇을, 어떻게 '포스트'하는가?
6 일상의 퍼포먼스화 - 혹은 뉴 다큐멘터리 연극 - 리미니 프로토콜의 연출작업을 중심으로 / 김형기
들어가는 말
1 <칼 마르크스: 자본론, 제1권>의 공연분석
2 뉴 다큐멘터리 연극으로서의 <칼 마르크스: 자본론, 제1권>
3 뉴 다큐멘터리 연극의 영향미학적 전략
4 일상의 퍼포먼스화
7 포스트드라마 연극에서 관객의 위치는 어디인가? / 이진아
1 관객성(spectatorship)에 대한 새로운 쟁점
2 부여되거나 발견되는 관객의 위치와 역할
3 관객의 정체성은 어디에서 오는가?
8 포스트드라마 연극에 관한 고찰들 / 파트리스 파비스
1 개념 및 용어의 유래
2 포스트드라마 연극 개념의 의미와 대상
3 포스트드라마 연극이 출현한 역사적 시기
4 포스트드라마의 문제점과 도전들
5 포스트드라마적이고 해체적인 연출을 향하여?
6 연출의 귀환?
7 일반적인 결론: 드라마적 글쓰기의 경우
찾아보기
[인명·단체·작품]
[용어]
필자 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