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글머리에
1. 韓文化와 신라의 삼한 통합
1) 단군왕검과 단군조선의 긍정
2) 기자조선ㆍ위만조선ㆍ이부(二府)ㆍ72소국
3) 가락국사(伽洛國史)의 재조명
4) 부여계 선인과 고구려ㆍ백제
5) 신라의 통합왕조 수립
2. 韓文化와 국내외 민족이동
1) 중원 왕조에 대한 사대외교
2) 북방민족과의 외교적 마찰
3) 신라ㆍ고구려ㆍ백제의 민족이동
4) 고구려ㆍ백제 선인들의 비극
3. 韓文化와 풍수적 자연관
1) 산수(山水) 인식과 시각과 이중환의 복거론(卜居論)
2) 자연지리와 풍수리지로 본 색목(色目)과 도읍
3) 풍수론에 입각한 한반도와 유구열도
4) 조선 팔도의 풍수와 인심의 평결
4. 韓文化와 동남연안의 신앙과 관방(關防)
1) 국조사전(國朝祀典)과 지역신앙
(1) 중세 지역 신앙의 층위(層位)
(2) 대사(大祀)ㆍ중사(中祀)ㆍ소사(小祀)의 변별
(3) 악(嶽)ㆍ해(海)ㆍ독(瀆)ㆍ진(鎭)과 명산대천
2) 울주(蔚州), 경주(慶州) 권역의 진산(鎭山)
(1) 진산의 유래와 의의
(2) 한(韓)ㆍ중(中) 진산의 비교
(3) 산천의 맥락과 진산의 실체
3) 울주ㆍ경주 권역의 관방
(1) 관방의 역사와 임진 대왜항쟁(對倭抗爭)
(2) 16세기 해안 여러 진영의 변황(兵況)
4) 동남 해안 권역의 봉수(烽燧) 체계
(1) 봉수망(烽燧網)과 제2 주봉체계(主烽體系)
(2) 봉수대의 연락망
5) 경주권 영일만의 해양문화
5. 韓文化와 문묘석전(文廟釋奠)의 전승
1) 석전의 유래와 의전(儀典)
2) 중원 왕조들의 석전
3) 신라ㆍ고려조의 석전
4) 조선조 석전과 사전(祀典)
5) 석전의 전래와 계승
6. 韓文化와 공부자 경세이념의 수용
1) 선선오악(善善惡惡)ㆍ이화제화(以華制華)
2) 선부정책(先富政策)ㆍ오불여노농(吾不如老農)
3) 과유불급(過猶不及)ㆍ 입관육칙(入官六則)
4) 군자유(君子儒)와 소인유(小人儒)
5) 불강부달(不强不達)ㆍ불노무공(不勞無功)
6) 체읍획린(剃泣獲麟)ㆍ오만과 겸양
7) 불경이식(不耕而食)ㆍ불직이의(不織而衣)
8) 공부자와 사마천
9) 번사부설(繁辭富說)과 교언영색(巧言令色)
7. 韓文化와 한강의 위상
1) 한강의 내력과 명칭
2) 여러 나루와 조운(漕運) 및 유람
3) 사독(四瀆)과 중사(中祀) 등의 유적(遺跡)
8. 韓文化와 남방외교의 착종
1) 사대교린 외교의 전말
2) 미완의 대마도 정벌
3) 대마도 교린외교의 패착
9. 韓文化와 대한제국의 재조(再造)
1) 칭제건원(稱帝建元)과 이소사대(以小事大)
2) 대한제국의 재창건
3) 대한제국과 황제예악(皇帝禮樂)
4) 대한제국의 재조와 위함 장지연(張志淵)
5) 한민족(韓民族) 숙원의 좌절
10. 韓文化와 한문학(韓文學)의 한 단면
1) 전통가곡(傳統歌曲) 시조(時調)
(1) 가곡사와의 관련 양상
(2) 사림파(士林派)의 가사 창작
(3) 성정미학(性情美學)과 장르의 개방성
2) 한자문학(漢子文學)과 한문 교육
(1) 우담(遇潭) 정시한(丁時翰)과 「산중일기(山中日記)」
(2) 성호(星湖) 「해동악부(海東樂府)」의 국통의식(國統意識)
(3) 한자(漢子)와 동아시아 민족의 명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