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구대열 교수가 국제정치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삼국통일의 역사. 저자는 통일과정을 신라, 백제, 고구려의 대내적 성장과 대외적 관계, 즉 외교를 통해서 살펴본다. 삼국통일의 과정을 삼국 안의 역사적 관점이 아닌 삼국 간의 관계 그리고 삼국과 중국, 그리고 왜 등과의 국제정치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이 시도는 한국 역사학계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이다.
목차
일러두기
감사의 말, 헌시에 관하여
제1부 이론적 문제
서론: 무엇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1. 문제점의 제기
2.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3.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
제1장 조공체제와 국제정치
1. 전근대 한국의 대외관계 연구와 조공체제
2. 국제법과 규범성 그리고 권력
3. 국제기구로서의 조공제도
4. 조공제도와 중국의 외교 - 안보정책
5. 조공 "제도"의 그림자
6. "역사 공동체"의 문제
제2장 정체성과 국제정치
1. 국제정치에서의 정체성 문제
2. 한국인의 정체성
3. 국가 정체성과 외교정책
제2부 삼국시대 전기
제3장 한국적 정체성의 맹아
1. 서론
2. 중국의 한국 인식
3. 한국인의 한국 인식
4. 광개토대왕 비문과 관련된 문제들
제4장 중국과의 관계유형성의 형성
1. 최초의 접촉과 관계유형의 탄생
2. 고구려 초기 중국과의 접촉
3. 초기 접촉과 심리적 반응
제5장 삼국 간의 교류와 정체성
1. 삼국 간의 교류와 그 문제점
2. 고구려-부여 간의 정통성 경쟁과 국제정치적 문제
3. 광개토대왕-장수왕의 남진정책과 관련 문제들
4. 신라의 초기 왜와 백제와의 관계
5. 백제의 초기 대외관계
6. 언어 소통과 정체성
제3부 조공과 동맹외교의 실상
제6장 백제의 타산외교
1. 동맹과 조공의 국제정치학
2. 초기 대외관계의 능동적 운용
3. 중국 왕조들과의 관계
4. 나-제동맹 평가
5. 대중국 외교의 문제점
제7장 고구려의 자주외교(Ⅰ) - 장수왕
1. 서론 : 전쟁론
2. 광개토대왕의 대외원정의 재평가
3. 고구려와 관련된 국제정치적 문제들
4. 북위-연-남송과 고구려
5. 북위-유연-북제와 고구려
6. 평양 천도와 남방 경략
7. “외교군주”로서의 장수왕
제8장 고구려의 자주외교(Ⅱ) - 수와 당나라의 전쟁
1. 장수왕 이후 고구려와 중국의 관계
2. 수-당과 고구려 : 안보 문제의 주관적 인식
3. 고구려와 수와 당, 그리고 “새로운 힘” 신라의 등장
4. 여-수전쟁과 여-당전쟁
5. 평양 천도와 안보 문제
제9장 신라의 순응외교
1. 신라의 성장
2. 중국과의 교류 확대와 삼국 관계
3. 김춘추의 일본 외교
제4부 삼국통일의 국제정치
제10장 통일전쟁과 국제정치
1. 백제 원정에 대한 신라와 당의 평가
2. 신라와 당의 전략과 백제의 대응
3. “복수” : 악순환의 시작
4. 소모전과 고구려의 종말
5. 여-당전쟁과 신라
6. 고구려 멸망에 관한 종합 평가
7. 평양 천도와 국가 성격의 변화
8. 고구려 멸망과 국제정치학적 문제들
제11장 백제와 고구려 부흥운동의 국제정치
1. 백제 부흥운동의 의미
2. 부흥운동의 전략적 문제들
3. 백강구 전투
4. 고구려 부흥운동의 시말
제12장 신라의 대당전쟁
1. 통일전쟁 후의 당의 삼국정책
2. 당의 초기 점령정책 : 신라-백제 맹약문
3. 신라의 백제 평정정책
4. 나-당전쟁의 시작
5. 설인귀-문무왕의 서신 교환과 의미
6. 당의 공세와 신라의 대응
7. 나-당전쟁과 국제정치
결론 : 국제정치학으로 본 삼국시대
후기 : 역사학과 국제정치학
참고 문헌
인명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