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인의 자서전>과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를 출간한 김열규 교수의 공부 인생기. 경남 고성의 한 시골마을에서 외톨박이 꼬마였던 그가 우리 시대 석학으로 나아갈 수 있었던 계기가 된 것은 바로 ‘공부’였다. 이 책은 그의 첫 공부 스승인 할머니의 옛날이야기에서 그를 국문학의 세계로 안내해준 시 문학의 가르침까지, 공부와 함께한 79년의 삶 이야기가 곳곳에 들어 있다.
목차
서문 새로운 공부를 시작하는 이들에게
프롤로그 내 공부의 첫 장, '이바구 떼바구 강떼바구'
Ⅰ 호모 스투디오수스의 탄생 : 공부하는 인간
대한민국은 공부 공화국
공부는 대부다?
머리를 싸매고 쓰고 짠다는 것
공부의 1원칙, 공짜는 없다
카르페 파시오, 고통을 즐겨라!
공부의 2원칙, 배신은 없다
“첫 페이지가 책 한 권”
'누어 아르바이텐'의 즐거움
스투디움의 4대 의미
Ⅱ 머리에서 발끝까지, 책상에서 책가방까지! : 공부의 다양한 풍경
머리,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
가슴, 인생 공부의 시작
손, 클릭과 터치가 중요한 시대
몸과 다리, '감각의 인간'
공부의 상징, 책가방
책꽂이, 주인의 얼굴 같은 것
책상을 먹는다?
책, 그 맛나는 음식
책에게 희망을 묻다
Ⅲ 읽고 자라고 살다 : 글 읽기의 참맛
책 읽는 백만장자
'천의 얼굴'을 가진 읽기
활자 책에서 전자 책까지, 읽기의 역사 1
고전주의에서 형식주의까지, 읽기의 역사 2
소설을 소설답게 읽는 법
시, 가슴과 머리로 읽는 법
나의 시 읽기 1
나의 시 읽기 2
나의 독서 순애보
나의 두보 읽기
소설을 못 읽게 한 어른들에게
Ⅳ 쓰고 생각하고 표현하다 : 글 쓰기의 실제
논증, 논리적 글 쓰기의 바탕
논리적 글쓰기의 3대 원칙
'시비 가리기'의 힘
논리적 글 쓰기가 별 건가?
논술과 논설
논리적 글 쓰기의 4C
글의 전체 윤곽과 그 세부에 관한 설계 꾸미기
대 주제문과 소주제문의 자리
논리적 글 쓰기의 주의 사항
Ⅴ 마이스터를 꿈꾸는 사람들 : 셀러던트 시대의 공부
'샐러던트의' 탄생
공부는 때가 없다
학력 NO, 인력 YES!
미셸 위의 주경야독
시력은 잃어도 학력은 드높아진 그녀
“꿈이여, 나를 일으켜라!”
조식의 공부법, 물 대접을 한 손으로 들다
정약용의 공부법, 역경을 기회로 삼다
Ⅵ 호모 핑거, 정보를 터치하는 인간 : 21세기 공부를 말하다
호모 인포메이션, 정보통이 으뜸인 세상
공부도 이젠 모바일
스마트폰 시대의 공부
멀티 내셔널리즘과 공부
글로컬리즘 시대의 공부
호모 핑거, 정보를 터치하라
에필로그 '전인(全人)적 존재'에 이르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