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동안 지질학과 고고학을 연구해 온 저자들과 함께 떠나는 지질,고고학 탐사. 광물이나 암석의 이름 등이 너무 많아 외우기 어려워하는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가능한 한 쉬운 용어로 설명하고, 더불어 복잡한 지질학적 특징 등은 사진과 삽화를 곁들여 마치 직접 함께 탐사 여행을 하는 것처럼 재미를 느끼며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한탄강으로 떠나기 전에
암석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지각이 움직인 증거를 찾아서
지질시대로의 여행
한탄강은 얼마나 클까?
한탄강은 지질학의 보물 창고
한탄강 유역의 고고학
이제 가방을 메고 한탄강으로 출발!
제2부 한탄강을 만나다
1. 한탄강 상류
01 오리산 화산 : 화산과 용암대지의 형성
02 아이스크림고지 : 스텝토의 형성
03 직탕폭포 : 현무암이 만든 폭포와 현무암의 특징
04 순담계곡 : 화강암 계곡의 특징
05 옹장굴 : 화강암과 현무암 사이의 동굴
06 대교천 협곡 : 용암계곡의 특징
07 삼부연폭포 : 화강암이 만든 폭포
2. 한탄강 중류
01 재인폭포 : 용암호에서 태어난 폭포
02 고문리 양수장 : 옛 한탄강과 현재의 한탄강이 만나는 곳
03 동막골 유원지 : 중생대 화산활동의 흔적
04 동막골 풍혈 : 풍혈의 생성
05 선곡리 용암 : 한탄강 용암의 역류 현장
06 자살바위 : 여러 지질시대의 암석 박물관
07 왕림교와 풍천관광농원 : 용암과 부정합
08 대전리 길가 : 중생대 퇴적층과 단층 파쇄대
09 백의리 : 용암호와 백의리층
10 양원리 하천 : 전단작용과 압쇄편마암
11 양원리 석탄 : 중생대 대동계 퇴적층
12 영로교 아래 : 선캄브리아시대와 신생대의 만남
3. 한탄강 하류
01 어유지리 : 한탄강과 임진강의 만남
02 마지리 : 중생대 대동계 퇴적암
03 율곡리 : 한탄강 현무암의 최남단
4. 한탄강 유역의 고고학 유적지
01 한탄강과 임진강의 선사 유적지
02 한탄강의 고인돌 : 통현리, 양원리, 학곡리
03 한탄강의 고구려 성지
제3부 한탄강을 다녀와서…
한탄강을 다녀와서…
임진강-한탄강 하곡의 지질 단위 및 시대
함께해보기 정답
서가브라우징
(한국의)화강암 침식지형2002 / 장재훈 저 / 성신여대출판부
10억 년 전으로의 시간 여행 : 지질학자, 기록이 없는 시대의 한반도를 찾다2016 / 지음: 최덕근 / Humanist(휴머니스트 출판그룹)
한반도 형성사 = Geology and Tectonic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2014 / 최덕근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한반도 형성사 = Geology and Tectonic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2014 / 최덕근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