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글
1부ㅣ21세기의 새로운 역사 보기
서양에 그리스와 로마가 있었다면 동양에는 ‘가야’가 있었다
잃어버린 고리를 이어가는 역사
진실 혹은 허구? 인도 공주의 가락국 왕비설
역사 왜곡을 뛰어넘어야 할 시점
‘쌍어문양’의 비밀
지워진 기억, 해상대국의 역사
국가는 바다 위에도 있을 수 있다
해상국가 가야의 위용 그리고 망각
사라진 가락국의 남쪽 국경
해상국 가야의 영토 표기법
규슈 깊숙한 곳에 ‘한국악’이라는 산이 있다
일본인 유전자 지도에 담긴 역사
허구화된 가야인의 기억, 규슈의 민담 캐릭터 ‘갓빠’
직접 확인하는 역사 왜곡
가야를 넘어 한반도 전체로
속속 드러나는 역사의 새로운 모습
2부ㅣ변화하는 지구, 변화하는 역사
새로운 역사 보기의 실마리, 기후변화에서 찾는다
역사 왜곡을 뛰어넘는 포스트모더니즘 역사학
인류 최초의 환경 파괴범 길가메시
테베를 건국한 페니키아 왕자 카드모스
람세스 대왕이 가장 무서워했던 ‘바다 사람’
바다 사람, 후기청동기문명을 붕괴시키고 사라졌다?
‘암흑기’에서 시작되는 고대 그리스 문명사
왜 한니발 장군은 코끼리를 타고 알프스를 넘었을까?
로마가 끝나자 세계가 끝나버렸다?
한랭기 기후변화가 낳은 중세 스페인 예술
십자군 기사와 베니스의 상인
소빙하기의 나무들, 근대 문명을 만들다
근대의 질서를 만들어준 총, 균 그리고 환경변화
지구 위에서 본 근대
21세기, ‘거대한 가속도의 시대’
3부ㅣ한반도 역사의 의문을 풀다
한반도에서 인류 최초의 문명이 발생했다?
인류 최초의 문명, 주인공은 누구의 조상이었을까?
유라시아의 동쪽, 한반도가 가장 앞선 지역이었던 이유
최강자의 첨단소재 흑요석
요하문명의 종말에 관한 시나리오
박창범 교수의 지도를 다시 보다
가야는 한반도 동남단에서 중국과 일본까지 진출한 나라였다
한반도 중세온난기의 의문
백두산, 동아시아 판세를 바꾸다
중근세 동아시아의 기후변화와 역사 아웃라인
지구 위에서 보는 한반도 지각활동 문제
21세기의 거시환경 동향
다음 글을 약속하며
감사의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