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분자적 패러다임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리고 그 패러다임의 특징이 무엇인지 살펴보려는 책이다. 이 책의 중심적인 물음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근대 이후 우리가 생명을 보는 관점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가? 분자적 패러다임이 수립된 역사적·사회적 맥락은 무엇인가?
목차
ㅣ서문ㅣ
1부 기계론적 생명관의 배태 1장 역학적 세계관과 기계론 철학 2장 “세계상의 기계화”와 기계로서의 생명
2부 생물학적 결정론의 궤적 3장 우생학의 뿌리 4장 골상학에서 IQ까지─생물학적 결정론의 궤적
3부 생명의 분자적 패러다임 5장 분자생물학의 탄생과 ‘Science of Man’의 기획 6장 DNA 이중나선 구조의 발견─“실체”로서의 지위를 얻은 DNA 7장 냉전, 그리고 ‘정보로서의 생명’ 8장 통제에 대한 열망─사회생물학의 대두
4부 생명의 정치경제학 9장 재조합 DNA 기술의 등장과 대중논쟁 10장 생물학의 거대과학화─‘인간유전체계획’ 11장 세계화와 생명의 전 지구적 사유화
ㅣ에필로그ㅣ斷想─생명에 대한 다른 관점들 ㅣ찾아보기ㅣ
서가브라우징
과학의 파우스트2001 / 에른스트 페터 피셔 ; 캐롤 립슨 공저 ; 백영미 옮김 / 사이언스북스
아더 마인즈 : 문어, 바다, 그리고 의식의 기원 2019 / 지음: 피터 고프리스미스 ; 옮김: 김수빈 / 이김
아더 마인즈 : 문어, 바다, 그리고 의식의 기원 2019 / 지음: 피터 고프리스미스 ; 옮김: 김수빈 / 이김
후생동물: 바다로부터 뭍까지, 동물에게서 배우는 마음의 진화와 생명의 의미2023 / 지음: 피터 고프리스미스; 옮김: 박종현 / 민음사
사회생물학 대논쟁2011 / 김동광, 김세균, 최재천 엮음 / 이음
사회생물학 대논쟁2011 / 김동광, 김세균, 최재천 엮음 / 이음
사회생물학 대논쟁2011 / 김동광, 김세균, 최재천 엮음 / 이음
생명의 사회사 = A social history of life : 분자적 생명관의 수립에서 생명의 정치경제학까지2017 / 지음: 김동광 / 궁리출판
생명감수성 쫌 아는 10대 : [청소년] 2023 / 글: 김성호 ; 그림: 서와 / 풀빛
생명의 기원 : 제5의 기적2000 / 폴 데이비스 지음 ; 고문주 옮김 / 북스힐
궁극의 생명 : 위대한 석학 21인이 말하는 생명의 기원과 진화, 그리고 최첨단 생명과학2017 / 지음: 리처드 도킨스 외 ; 엮음: 존 브록만 ; 옮김: 이한음 / 와이즈베리
생명이란 무엇인가1999 / 린 마굴리스 ; 도리언 세이건 공저 ; 황현숙 옮김 / 지호
생명이란 무엇인가? 그후 50년2004 / 마이클 머피;루크 오닐 [같이]엮음;이상헌;이한음 [같이]옮김 / 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