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우리나라 교육 환경에서, 최우선으로 개선해야 할 부분은 바로 ‘독서 교육’과 ‘글쓰기 교육’ 부분이다. 저자는 다년간의 강의 교육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인들이 왜 글쓰기를 어려워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여 최고의 ‘글쓰기 기본서’를 저술했다.
목차
2부 글쓰기 최고의 실용 기술
13장 비유의 마법사 되기: 직유와 은유
비유의 직행 노선, 직유법
비유의 정화, 은유법
비유와 통찰의 상관성
14장 이해와 설득의 마술: 예시
현실의 설득력, 사실 예시
이해의 지렛대, 비유적 예시
주장의 필수요소, 근거와 예시
15장 지원병 활용하기: 인용
천군만마를 빌리는 힘
직접인용과 간접인용
16장 세상을 보는 두 가지 눈, 비교와 대조
공통점 찾기, 비교
차이점 찾기, 대조
17장 문장의 짝짓기: 대구
유사의 대구와 대조의 대구
역전(逆轉) 교차대구어법
대구와 단구 조합
대구로 이루어진 글들
18장 글로 그리기: 묘사
생생한 느낌은 묘사에서 나온다
객관적 묘사와 주관적 묘사
묘사의 종류와 대상 조정
3부 글쓰기 훈련을 위한 최상의 장르
19장 독서록 쓰기
독서록을 잘 쓰는 기본 요령
능동적으로 읽고 정직하게 써라
독서사색록
독서에세이
20장 사색록 쓰기
내면에서 철학을 캐내는 시간, 사색
필력과 사고력 훈련의 장
체험에서 생각을 캐내라
테마가 있는 사색록 쓰기
초단문으로 사색록 쓰기
21장 에세이 쓰기
수필과 에세이의 차이
에세이 분석적 읽기
22장 자기소개서와 자전(自傳) 쓰기
자기소개서 쓰는 요령
자전(自傳) 쓰기
후기
부록: 강의 사색록 ― 1학년 수업의 빛과 그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