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교육 환경에서, 최우선으로 개선해야 할 부분은 바로 ‘독서 교육’과 ‘글쓰기 교육’ 부분이다. 저자는 다년간의 강의 교육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인들이 왜 글쓰기를 어려워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여 최고의 ‘글쓰기 기본서’를 저술했다.
목차
프롤로그
1부 글쓰기 절대원칙 혹은 최소원칙 1장 잘 읽어야만 잘 쓸 수 있다 안목이 실력의 시작이다 많이 읽고 많이 생각하고 많이 써라 쓰기의 원천, 독서 잘 읽기의 기술 천지만물과 세상의 이면까지 읽어라 2장 최대한 진솔하게, 말하듯이 자연스럽게 써라 말하듯이 자연스럽게 써라 편지체 글쓰기 최대한 진솔하게 써라 무조건 한 문장만 써라 3장 더 개성 있게, 더 자유롭게 써라 남다른 글은, 개성이 있다 내면을 깨우는 프리라이팅 4장 좋은 글은 좋은 내용과 좋은 표현의 조합이다 내용과 표현 함께 읽기 좋은 글을 쓰기 위한 기본 자세 5장 구체적으로 쓰는 것이 잘 쓰는 첫걸음이다 잘 쓰기와 못 쓰기의 기준점 감각적 표현으로 쓰기 감성 지수를 높여라 구체적으로 쓰기 기초 훈련 구체성은 모든 글의 미덕이다 6장 글감을 찾는 법 글감의 중요성 좋은 글감의 기본 요소 글감 찾는 법 메모는 글감의 텃밭 7장 어휘력이 문장력의 관건이다 문장이란 단어의 결합이다 단어 감수성 상위어 하위어 8장 긴 문장보다 짧은 문장을 써라 짧고 간결한 문장이 답이다 소통을 위한 문장을 써라 비문과 정문 리듬감 있는 문장을 써라 문장부호도 문장력의 일부다 9장 글의 뼈대, 단락과 구성 단락은 의미의 마디다 좋은 구성은 좋은 순서다 10장 질문이 생각과 글쓰기를 이끈다 사실질문과 사고질문 질문은 사고력을 지배한다 질문으로 글쓰기 상상력을 키우는 질문 11장 물리적 진실과 심리적 진실 마음의 진실은 저마다 다르다 객관과 주관 사이 12장 퇴고는 글쓰기의 최고 미학이다 퇴고의 중요성, 효과 퇴고의 전략과 기술 소리 내어 고쳐라 객관적 조언, 합평
서가브라우징
내 문장은 어디서부터 고쳐야 할까? : 선명하고 바르고 오해받지 않는 글쓰기2019 / 지음: 김은경 / 호우
10대에 작가가 되고 싶은 나, 어떻게 할까?2020 / 지은이: 김은재 / 오유아이:
독해가 쏙! 생각이 톡!2019 / 지음: 김재호 / 동아일보사
열 문장 쓰는 법: 못 쓰는 사람에서 쓰는 사람으로2020 / 지음: 김정선 / 유유
글은 어떻게 삶이 되는가 : 삶을 질적으로 변화시키는 글쓰기의 쓸모 2023 / 지음: 김종원 / 서사원
(내 아이를 위한) 30일 인문학 글쓰기의 기적2022 / 지음: 김종원 / 상상아카데미
무엇이든 쓰게 된다 : 소설가 김중혁의 창작의 비밀2017 / 지음: 김중혁 / 위즈덤하우스
LQ 글쓰기 스터디 : 내 인생의 첫 번재 글쓰기 수업. 12014 / 지음: 김주수 / 북코리아
LQ 글쓰기 스터디 : 내 인생의 첫 번재 글쓰기 수업. 22014 / 지음: 김주수 / 북코리아
(사이다 공식으로) 톡 쏘는 글쓰기 비법 : 업무 보고서 및 제안서, 보도자료, SNS 홍보글까지… 2021 / 지음: 김주리 / HCbooks(힘찬북스)
망한 글 심폐소생술 : 한 줄이라도 쉽게 제대로, 방송작가의 31가지 글쓰기 가이드2018 / 지음: 김주미 / 영진미디어
삶은 언제 예술이 되는가2014 / 김형수 지음 / 아시아
매일 쓰고 다시 쓰고 끝까지 씁니다 : 시나리오에서 소설까지 생계형 작가의 글쓰기 2020 / 지은이: 김호연 / 행성B(행성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