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Ⅰ 기호학파의 성리학
1. 이이의 기 없는 상태에서 리의 작용과 리무위?기유위
1) 리의 작용과 무위는 모순?
2) 기 없는 상태에서 리의 작용
3) 리의 작용과 리무위?기유위와의 관계
4) 리의 작용: 초년 미정설, 무위: 만년 정설
2. 본연지기에서 정기와 기질체청까지: 이이에서 홍직필과 전우까지
1) 본연지기에서 기질체청으로 전개
2) 기의 정조
3) 기의 주재
4) 기질체청
5) 본연지기에서 정기와 기질체청으로 발전
3. 전우의 주재와 인물성편전론
1) 주재설과 인물성편전론의 기원
2) 심성의 주재
3) 인간과 다른 생물의 성의 편벽과 완벽
4. 전우의 선과 그 실천으로서 파리장서에 대한 인식
1) 선의 실천과 파리장서
2) 선의 발현
3) 실천 : 거경치지
4) 선의 실천으로서 파리장서 거부
5. 전우의 이항로 이기설에 대한 비판과 심설논쟁
1) 이기의 동정과 심설
2) 리가 동정하는가 기가 동정하는가
3) 심설논쟁: 심합이기 대 심즉기
4) 전우: 기의 동정과 심즉기, 이항로: 리의 동정과 심합이기
6. 주희 리기설의 쟁점에 대한 이항로의 이해
1) 이기의 동정과 선후
2) 이기선후의 유무
3) 리의 능동
4) 이발: 이황의 영향, 이기선후 문제: 이이와 송시열의 영향
Ⅱ 영남학파의 성리학
1. 이진상-심즉리설의 연원
1) 율곡학파의 심즉기설 비판으로서 이진상의 심즉리설
2) 주희의 체용론적 심설
3) 심즉리설의 연원
4) 이황의 심합이기의 본체로서 이진상의 심즉리
2. 이진상의 심합이기와 심즉리
1) 이진상은 심즉리만을 주장하였는가?
2) 심합이기 속의 심즉리
3) 심합이기의 본체로서 심즉리
3. 이진상의 왕수인 비판에서 나타난 양자의 차이점
1) 이진상과 왕수인의 심즉리
2) 이진상의 왕수인 심즉리설 비판에서 나타난 양자의 차이점
3) 이진상의 심즉리: 리, 왕수인의 심즉리: 양지
4. 평포논쟁의 쟁점으로서 유리무기
1) 영남학파의 평포논쟁
2) 이생기에서의 유리무기
3) 이선기후에서 유리무기
4) 이진상: 유리무기, 이종기: 유리무기 부정
Ⅲ 서학과 유학의 융합으로서 신유학
1. 정약용의 상제와 심의 관계에서 나타난 모순적 논리 검토와 그 진의: 선진유학과 서학의 융합
1) 천이 인간에게 준 자주지권과 상벌의 관계
2) 상제와 심의 관계
3) 인간의 자주권과 천의 분노 및 상선벌악의 관계
4) 진의: 마음 속의 천을 회복
2. 정약용의 상제와 인심도심과 사단칠정의 관계에서 나타난 모순적 논리검토와 그 진의
1) 천의 자주지권과 인심의 모순적 논리 검토
2) 천과 인심도심과 사단칠정의 관계에서 나타난 모순적 논리검토와 그 진의
3) 진의: 천의 인간 악행에 대한 감시
Ⅳ 송시열과 정약용
1. 조선후기 사단칠정설 변화의 두 양상: 송시열과 정약용
1) 사단칠정설의 새로운 변화
2) 변화의 두 양상
2) 사단과 칠정은 모두 천리의 공公과 형기의 사私에서 발동: 정약용
3) 사단과 칠정 모두 중절과 부중절 및 공과 사의 공존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