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서론: 유학의 의학의 상함성과 상관성
제1부 유학과 의학 그리고 유의(儒醫)
제1장 유학의 심성수양과 황로사상(黃老思想)의 의학적 회통 구조
1. 『논어』와 의학의 상관성
2. 맹자(孟子)와 순자(荀子)의 심신관과 동중서(董仲舒)
3. 『황제내경(黃帝內徑)』과 황로사상(黃老思想), 역학(易學)
제2장 성리학(性理學)과 유학적 의학의 출현
1.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과 의학
2. 정·주(程·朱)의 심·신(心·身) 이해
3. 상의학풍(尙醫學風)과 의유동도(醫儒同道)
제3장 유학적 의학-유의(儒醫)의 정의와 특성
1. 유의(儒醫)의 정의(定義)
2. 유의(儒醫)의 의도(醫道)와 의덕(醫德) : 중화위육(中和位育)
3. 유의(儒醫)와 의론(醫論) : 음양중화(陰陽中和)와 절욕양성(節慾養性)
제2부 유의(儒醫) 의학과 동의(東醫)의 출현
제4장 유의(儒醫) 의학의 도입과 성리학자의 의학·양생관
1. 유의(儒醫) 의학의 도입 :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과 『의방유취(醫方類聚)』
2. 유의(儒醫) 의학의 전개 : 『의림촬요(醫林撮要)』와 『동의보감(東醫寶鑑)』
3. 조선 중기 성리학자의 의학·양생관
제5장 『동의보감』에 반영된 유의 의학·양생서 및 그 특성
1. 주진형(朱震亨)의 군화(君火)·상화(相火)와 주정(主靜)
2. 이천(李梴)의 심(心)과 보양론(保養論)
3. 『삼원연수참찬서(三元延壽參纂書)』와 『활인심법(活人心法)』
제6장 동의(東醫)의 유의(儒醫) 의학 : 『동의보감』의 유학적 함의
1. 유학과 도교의 의학적 회통
2. 태극(太極)과 심(心)의 의학적 전개
3. 양심(養心)과 양생(養生)의 조화
제3부 동의(東醫)와 유의(儒醫)의 정립
제7장 『동의보감』 의학과 『이양편(二養編)』
1. 『이양편(二養編)』 편찬의 목적
2. 『이양편(二養編)』의 구조와 특징
3. 『이양편(二養編)』의 『동의보감』 재구성
제8장 이제마(李濟馬)의 심성론과 사상의학
1. 이제마(李濟馬) 의학의 역학적(力學的) 이해
2. 경학(經學)과 심성 수양론
3. 사상의학(四象醫學)으로의 전개
제9장 이규준(李圭晙)의 경학과 부양의학
1. 유의(儒醫) 전통의 계승과 경학(經學)
2. 심성일물(心性一物)과 리기(理氣)
3. 심화(心火)와 부양론(扶揚論)
결론 : 동의(東醫)와 유의(儒醫)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