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좌파, 자유주의, 신유가라는 틀 안에서 지식인들의 유파가 현재 어떻게 펼쳐져 있는지를 매우 세밀하게 집중적으로 다룸으로써, 중국 지식인들의 사유양식과 행동양식을 충분히 이해하고자 했고, 지금 이들의 사유가 어디까지 와 있는가를 가감 없이 확인하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숭중崇中과 혐중嫌中을 넘어 연중硏中과 비중批中으로 서론 중국의 지식(인)은 대안이 될 수 있을까?
제1장 중국 사상 구도와 지식인의 분화 - 신이행기new transition period의 관전 포인트 제2장 좌와 우의 교차, 국가 그리고 지식공동체 - 진보와 보수의 아포리아 제3장 최근 주요 학파와 주장들 - 현대 지식 지형과 분류 기준 제4장 중국의 유학 부흥의 조건과 태도 - 대륙 신유가와 모더니티의 문제 제5장 중국 자유주의와 그 변화 가능성 - 위기와 기회의 변증법 제6장 신좌파와 비판적 지식인의 조건 - 신좌파의 국가주의화와 '중국모델론' 제7장 현대 중국 지형의 전망 - 공공성의 지식, 지식의 공공성
부록 중국 개혁개방 30년의 사상과 지식 지형 - 1980~1990년대를 중심으로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중국의 체온 : 중국 민중은 어떻게 살아가는가2016 / 쑨거 지음 ; 김항 옮김 / 창비
아이돌이 된 국가2022 / 외 지음: 류하이룽; 옮김: 김태연, 이현정, 홍주연 / 갈무리
일대일로 = One belt & one road strategy : 중국의 新실크로드 전략2016 / 이강국 지음 / 북스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