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rologue
제1장 실크로드의 기원 및 주요 국가의 유라시아 정책
제1절 실크로드의 기원 1. 실크로드의 의미 및 범위 2. 실크로드의 개척자
제2절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요성 및 주요 국가의 유라시아 정책 1. 유라시아 지역의 지정학적 중요성 부각 2. 주요 국가의 유라시아 정책
제2장 일대일로 전략 추진 환경 조성
제1절 중국의 신지도부 출범 1. 중국의 18차 당 대회 개최 2. 시진핑 등장
제2절 중국 정부의 혁신 정책 실시 1. 중국의 꿈 제시 2. 시진핑 정부의 정책 특징 3. 중국의 혁신 정책 추진 방식
제3장 일대일로 전략 출범, 의미 및 배경
제1절 일대일로 전략 출범 1. 최고 지도자의 언급 2. 일대일로 전략의 구체화 3. 일대일로 전략의 정책화
제2절 일대일로 전략 추진 의미 1. 일대일로 전략의 정의 2. 일대일로 전략의 정책적 의미 3. 일대일로 전략의 특징 4. 일대일로 전략 운영 방향
제3절 일대일로 전략의 추진 배경 1. 신성장 동력 확보 2. 잉여 산업 수출로 과잉 산업 문제 해소 3. 전면적 개방을 통한 지역 균형 발전 촉진 4. 안정적인 에너지 수입원 확보 5. 경제적 영향력 확대 및 경제 통합 주도권 확보 6. 주변 외교의 확대 발전 및 적극적인 외교 전략
제4장 일대일로 전략 추진 체계 및 청사진
제1절 일대일로 정책의 추진 체제 1. 일대일로 건설영도소조 출범 2.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역할
제2절 일대일로 전략의 청사진 1.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외교부, 상무부 공동 문건 발표 2. 육상 및 해상 일대일로 노선(路線) 3. 일대일로 전략의 5통 : 중점 협력 분야와 주요 내용 4. 일대일로의 추진 원칙, 방식 및 플랫폼 5. 일대일로 전략의 대상 범위 6. 경제회랑 추진
제5장 일대일로 전략의 프로젝트별 추진 내용
제1절 철도망 연결 사업 1. 국제화물 열차 2. 고속철도 건설
제2절 항만 건설 1. 항만 건설 전략 2. 주요 항만 건설 내용
제3절 가스관 건설 1. 중앙아시아 가스관 2. 미얀마 가스관 3. 러시아 가스관
제6장 일대일로 전략의 금융 분야 협력
제1절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1.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설립 제안 및 기능 2.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설립 경과 3.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운영 원칙 4.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설립이 국제 금융 질서에 미치는 영향 5.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과 위안화 국제화 6. 한국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가입 및 역할
제2절 실크로드기금, 브릭스은행, 상하이협력기구를 통한 금융 협력 1. 실크로드기금 조성 2. 브릭스의 신개발은행(NDB) 3. 상하이협력기구(SCO) 개발은행
제7장 일대일로 전략의 중국 국내적 추진
제1절 일대일로 전략 참여 현황 및 지역별 역할 1. 일대일로 참여 지역 및 지역별 기능 2. 일대일로 전략 중점 분야에 있어서 각 지역의 역할
제2절 일대일로 정책의 지역별 세부 추진 내용 1. 서북부 지역 2. 서남부 지역 3. 동남부 지역 4. 동부 연안 지역 5. 화중 지역 6. 징진지 지역 7. 동북부 지역
제3절 지역 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능별 정책 1. 자유무역시험구와 연계 2. 신구(新區) 지정을 통한 연계 전략 3. 통관 일체화를 통한 물류 제도 혁신
제8장 일대일로 전략의 상황 평가 및 제약 요인
제1절 일대일로 전략 추진 상황 평가 1. 일대일로 전략 관련 국제 협력 2. 중국의 중요한 정책으로 정립 3. 금융 지원 체제 수립 4. 활발한 학계의 연구 및 일대일로 행사 개최
제2절 일대일로 전략의 제약 요인 1. 잉여 상품 수출 시장 및 과잉 산업 이전 수단 2. 개발 비용 문제 및 중국에 대한 의존 현상 심각화 3. 국가 간 제도 및 규정 차이 4. 지역상의 위험 상존 5. 지역 갈등 및 강대국 간 경쟁
제9장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구상
제1절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의미 및 목표 1.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의미 2.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목표
제2절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추진 배경 1. 유라시아 협력체 부재 2. 유라시아 잠재력 발현 곤란 3. 한국의 지정학적 위치 및 창의성 활용 4. 북한의 개방 유도
제3절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주요 프로젝트 1. 실크로드 익스프레스 구축 2. 동북아 개발은행 3. 북극 개발
제4절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성과 1.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에 대한 지지 및 공감대 확산 2. 유라시아 친선 특급사업 추진 3. 한반도 종단철도 연결 4. 북극 항로 개발 5. 중앙아시아, 노르딕, V4와의 협력 확대 6. 두만강 유역 개발
제5절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중간 점검 및 성과 제고 방안 1.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중간 점검 2.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성과 제고 방안 마련
제6절 일대일로 전략과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구상 간 협력 1. 일대일로 전략과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공통점 2. 일대일로 전략과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차이점 3. 일대일로 전략과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간 협력 필요성 4. 일대일로 전략과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간 협력 틀 구축
제10장 한국 입장에서 일대일로 전략의 활용 방안
제1절 일대일로 전략 참여 전략과 구체적인 진출 방안 마련 1. 일대일로 전략에 대한 참여 전략 수립 2. 중국 내륙 거점 지역에 관심 제고 3. 일대일로 프로젝트 수주 지원 강화 4. 일대일로 연선 국가에서 불고 있는 한류를 활용한 진출 5. 중국의 영향력 확대 우려 정서를 활용한 진출 전략
제2절 일대일로 전략과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활용한 종합 전략 추진 1. 나진-훈춘-하산 개발 연계 및 물류 중심 기능 : 부산 2. 열차페리를 통해 황해-실크로드 익스프레스 추진 : 인천, 평택 3. 한반도 종단철도 연결을 위한 노력 지속 : 강원도 4. 한·중 경협 단지 성공적 조성으로 새로운 기회 창출 : 새만금 5. 문화 실크로드로 일대일로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연결 : 경주
Epilogue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