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 서문 v
제1장 언어이론 연구의 필요성
1.1 언어이론의 다양성 3
1) 현실과 목표 간의 괴리 5
2) 언어의 다면성 8
3) 견해의 상이성 10
1.2 언어이론의 역사성 15
1) 문법학의 역사 18
2) 내재이론 27
1.3 주도 이론의 확인과 평가 38
1) 문법이론의 근간적 위상 39
2) 보편성의 구명 48
(가) 역사 언어학 48
(나) 음운론 54
1.4 형식주의의 양면성 63
1) 이득성 63
2) 한계성 69
(가) 형식의미론 71
(나) 화용론 75
제2장 언어이론의 네 가지 특징
2.1 광의적 정의 대 협의적 정의 80
2.2 과학성의 극대화 89
2.3 보편성의 추구 100
1)음소 105
2) 계열적 및 통합적 관계 108
3) 보편문법 111
2.4 인간본성의 탐구 126
1) Saussure의 구조주의 127
2) Chomsky의 생성주의 132
제3장 Saussure의 언어이론
3.1 확고한 위상 142
1) 여섯 가지의 쟁점 142
2) 이론적 적합성 148
3) 언어적 가치의 기준 152
4) 그의 언어이론의 영향력 154
(가) 직접적인 영향 157
(나) 간접적인 영향 162
3.2 그의 책의 분석 169
1) 이중적 기능의 2분법 171
2) 비체계성과 난해성 176
3) 총괄성 184
3.3 언리학 195
1) 두 가지 특징 196
2) 실례 206
3.4 구조주의의 장래 212
1) 고전적 이론으로의 승화 212
2) Barthes와 Harris의 기호이론 233
(가) Barthes의 기호이론 234
(나) Harris의 기호이론 242
제4장 Chomsky의 언어이론
4.1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상반된 견해 257
1) 경험주의의 폄훼 261
(가) 역사적 사실 261
(나) 심리학의 동향 264
2) 언어이론의 신개념 268
(가) 상징성 268
(나) 메타이론적 탐구 270
(다) 특이성 272
3) 계승성 273
4.2 보편문법 이론 278
1) 중핵적 언어기구로서의 문법 279
2) 표준이론의 수립 285
(가) 문법의 자율성 287
(나) 초기이론 294
(다) 문법모형과 문장 분석법 299
3) 원리와 매개변인의 이론으로의 전환 305
(가) 격상된 언어이론 306
(나) 문법모형과 기술법 324
i) 문법모형 324
ii) 기술법 327
4) 최소주의이론으로의 낙착 331
(가) 이론적 특징들 331
(나) 문법모형과 기술법 354
i) 문법모형 355
ii)기술법 359
제5장 언어이론 연구의 발전 방향 (I): 수평적 확장
5.1 언어이론의 두 가지 개념 364
5.2 태생적 한계성 377
1) 응용언어학 379
2) 관련학문 388
5.3 인지 언어학 401
1) Langacker의 인지문법론 404
2) Talmy의 인지의미론 409
3) Lakoff의 은유이론 414
5.4 의미론 419
1) 어휘의 기본성 422
2) 문장 의미론의 한계성 424
3) 수사학의 수용 426
4) 언어와 사고체계의 불가분성 429
5) 경험주의적 언어습득론 433
제6장 언어이론 연구의 발전방향 (Ⅱ) : 수직적 연결
6.1 광의의 언어이론 연구 438
1) 문법학 439
2) 언어철학과 수사학 447
6.2 전통문법의 위상 452
1) 고전적 언어사상 453
2) 가장 오래된 문법 454
3) 학교문법 455
4) 기본 개념의 공급원 456
5) 과학주의의 표방 460
6.3 언어의 변화성 465
1) 주제 465
2) 학풍 469
6.4 이론언어학의 필요성 475
1) 언어학 사료학과 언어학사와의 관계 477
2) 이 학문에서 다루어질 주제 479
3) 기여성 487
? 참고문헌 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