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도의 일반적인 내용과 역학적인 측면을 다루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은 궤도역학의 의의와 역사를 비롯해 크리트궤도 일반, 콘크리트궤도의 역학, 사전제작 콘크리트슬래브궤도, 콘크리트궤도 구조계산의 예 등 '콘크리트궤도의 역학'에 관한 설계.시공에 따른 일반론과 역학적인 문제를 주로 다루고 있다.
목차
편저자 서문
궤도역학의 의의와 역사
Ⅹ. 콘크리트궤도 일반
ⅩⅡ.1 개관, 장점 및 기본형
ⅩⅡ.1.1 콘크리트궤도 시스템의 개관
ⅩⅡ.1.2 콘크리트궤도 개발의 목적
ⅩⅡ.1.3 콘크리트궤도 시스템의 장점
ⅩⅡ.1.4 콘크리트궤도의 기본형
ⅩⅡ.1.5 교량 상의 콘크리트궤도의 구조 사례
ⅩⅡ.2 고속철도용 Rheda 2000 콘크리트궤도 시스템
ⅩⅡ.2.1 Rheda 2000 콘크리트궤도 시스템
ⅩⅡ.2.2 추가의 시스템 해법
ⅩⅡ.2.3 신선 콘크리트궤도 측량의 원리
ⅩⅡ.2.4 Rheda 2000 시스템의 건설과 측량 사례
ⅩⅡ.2.5 콘크리트궤도 시스템의 측량 사례
ⅩⅡ.2.6 철도 기반시설의 공적 사적 파트너십 프로젝트 사례
ⅩⅡ.2.7 선형 건설현장의 계획수립 사례
ⅩⅡ.3 고속철도 콘크리트궤도용 토공구조
ⅩⅡ.3.1 개관
ⅩⅡ.3.2 지질공학 측량 프로그램
ⅩⅡ.3.3 침하
ⅩⅡ.3.4 흙 쌓기와 땅깎기
ⅩⅡ.3.5 천이접속 구간
ⅩⅡ.3.6 소프트한 흙에서의 건설 예
ⅩⅡ.3.7 요약
ⅩⅡ.4 질량-스프링 시스템 및 탈선보류·차량접근 설비의 사례
ⅩⅡ.4.1 질량-스프링 시스템의 개론 및 현재의 기술수준
ⅩⅡ.4.2 Berlin의 North-South 연결선용 질량-스프링 시스템
ⅩⅡ.4.3 Cologne/Bonn 공항 연결선용 질량-스프링 시스템
ⅩⅡ.4.4 Berlin의 U2 지하철 선로용 경(輕)질량-스프링 시스템
ⅩⅡ.4.5 질량-스프링 시스템의 결론
ⅩⅡ.4.6 흡음 슬래브에 대한 탈선보류 및 차량접근 설비
ⅩⅢ. 콘크리트궤도의 역학
ⅩⅢ.1 지반 상에 부설되는 콘크리트궤도의 구조계산
ⅩⅢ.1.1 일반사항
ⅩⅢ.1.2 재료의 특성 값
ⅩⅢ.1.3 레일지점 힘
ⅩⅢ.1.4 지지되는 궤광의 시스템
ⅩⅢ.1.5 개별 레일지점을 가진 시스템
ⅩⅢ.1.6 지반의 압축응력
ⅩⅢ.1.7 연속 철근콘크리트 지지 슬래브와 채움 콘크리트
ⅩⅢ.1.8 아스팔트 지지 슬래브
ⅩⅢ.1.9 동상방지층과 하층토
ⅩⅢ.1.10 구조계산 예
ⅩⅢ.1.11 리프트 힘
ⅩⅢ.2 교량 위 및 천이접속 구간의 콘크리트궤도
ⅩⅢ.2.1 일반사항
ⅩⅢ.2.2 25 m 이하의 지간을 가진 교량
ⅩⅢ.2.3 25 m 이상의 지간을 가진 교량
ⅩⅢ.2.4 자갈궤도로의 천이접속
ⅩⅢ.3 콘크리트궤도 및 그 구성요소에 대한 실험실에서의 시험
ⅩⅢ.3.1 일반사항
ⅩⅢ.3.2 스프링 계수
ⅩⅢ.3.3 레일체결장치의 장기거동
ⅩⅢ.3.4 레일체결장치의 복진 저항
ⅩⅢ.3.5 무도상궤도의 변형거동에 대한 대규모 실험
ⅩⅢ.3.6 레일 종 방향 반력의 시험
ⅩⅢ.3.7 횡 변위 저항시험
ⅩⅢ.3.8 리프팅 시험
ⅩⅢ.3.9 예상
ⅩⅣ. 사전제작 콘크리트슬래브궤도
ⅩⅣ.1 개론
ⅩⅣ.2 설계 조건
ⅩⅣ.2.1 설계 하중
ⅩⅣ.2.2 재료의 허용응력
ⅩⅣ.3 궤도슬래브의 설계
ⅩⅣ.3.1 설계의 고려방법
ⅩⅣ.3.2 탄성기초 위의 보 이론에 의한 궤도슬래브의 해석법
ⅩⅣ.3.3 유한 요소법에 의한 해석법
ⅩⅣ.4 돌기부의 설계
ⅩⅣ.4.1 돌기(突起, projection)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힘
ⅩⅣ.4.2 돌기 콘크리트의 설계
ⅩⅣ.5 채움재(塡充材)
ⅩⅣ.5.1 시멘트 아스팔트 모르터(CA 모르터, cement asphalt mortar, CAM)
ⅩⅣ.5.2 합성수지(合成樹脂)
ⅩⅣ.6 슬래브궤도와 구조물
ⅩⅣ.6.1 차량의 주행안전 및 승차감에 의거하여 정하는 꺽임 각 한도
ⅩⅣ.6.2 궤도의 강도에 의거하여 정하는 궤도의 변형(track deformation) 한도
ⅩⅣ.6.3 축상 가속도(acceleration of axial box)에 의거하여 정하는 단차 한도
ⅩⅣ.6.4 슬래브궤도의 보수 한도
ⅩⅣ.6.5 구조물의 변위의 대한 규제
ⅩⅤ. 콘크리트궤도 구조계산의 예
ⅩⅤ.1 일반사항
ⅩⅤ.1.1 개론
ⅩⅤ.1.2 콘크리트궤도 구조의 기준
ⅩⅤ.2 토공구간과 터널구간 궤도구조의 검토
ⅩⅤ.2.1 토공 위와 터널 내 콘크리트궤도의 요건
ⅩⅤ.2.2 해석의 일반사항
ⅩⅤ.2.3 토공 위 콘크리트궤도의 구조계산 원리
ⅩⅤ.2.4 토공 위 콘크리트궤도의 하중전달 원리
ⅩⅤ.2.5 토공 위 콘크리트궤도의 해석
ⅩⅤ.2.6 터널 내 콘크리트궤도의 해석
ⅩⅤ.3 교량구간 궤도구조의 검토
ⅩⅤ.3.1 교량구간 콘크리트궤도의 요건
ⅩⅤ.3.2 구조검토의 일반사항 및 해석방법
ⅩⅤ.3.3 설계계산 시 입력제원의 예
ⅩⅤ.4 교량 구간 TCL의 설계
ⅩⅤ.4.1 설계 일반
ⅩⅤ.4.2 수직하중
ⅩⅤ.4.3 종 하중
ⅩⅤ.4.4 횡 하중
ⅩⅤ.4.5 하중조합
ⅩⅤ.4.6 캠 플레이트의 설계
ⅩⅤ.4.7 TCL 슬래브의 설계
ⅩⅤ.5 교량구간 PCL의 설계
ⅩⅤ.5.1 설계 일반
ⅩⅤ.5.2 PCL 슬래브의 설계
ⅩⅤ.6 접속구간 궤도구조의 검토
ⅩⅤ.6.1 토공~터널, 자갈궤도~콘크리트궤도 접속구간의 요건
ⅩⅤ.6.2 교량~토공 접속구간의 요건
ⅩⅤ.6.3 접속구간 궤도구조의 검토
ⅩⅤ.7 궤도~교량구조물 상호작용의 해석
ⅩⅤ.7.1 궤도~교량구조물간의 상호작용
ⅩⅤ.7.2 교량 위 일반 궤도구조 검토의 개요
ⅩⅤ.7.3 하중
ⅩⅤ.7.4 교량 상부구조의 특성
ⅩⅤ.7.5 교량 하부구조의 특성
ⅩⅤ.7.6 레일 체결력의 검토
ⅩⅤ.7.7 궤도~교량구조물간 상호작용 해석
ⅩⅤ.7.8 부가적인 레일응력이 기준치를 초과한 교량의 조치
ⅩⅤ.7.9 교량 위의 콘크리트분기기 구조의 검토
ⅩⅤ.7.10 신축이음매
ⅩⅤ.8 레일체결장치 상향력의 검토
ⅩⅤ.8.1 궤도~교량구조물간 상호작용(상향력)의 개요
ⅩⅤ.8.2 궤도~교량구조물간의 상호작용(상향력)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
ⅩⅤ.8.3 상향력 구조해석의 기초
ⅩⅤ.8.4 기초입력제원
ⅩⅤ.8.5 상향력의 해석
ⅩⅤ.9 토공 위의 분기기용 콘크리트 도상
ⅩⅤ.9.1 일반 사항
ⅩⅤ.9.2 토공 위의 분기기용 콘크리트 도상 구조계산의 개념
ⅩⅤ.9.3 토공 위의 분기기용 콘크리트 도상 구조의 설계
ⅩⅤ.9.4 분기기 전환기 설치공간의 확보
ⅩⅤ.9.5 구조계산의 예
ⅩⅤ.10 콘크리트궤도용 침목
ⅩⅤ.10.1 일반궤도용 침목(Plane track sleeper)
ⅩⅤ.10.2 분기기용 침목(Turnout section track sleeper)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4차 산업 혁명 건설 산업의 변화와 미래 = (The)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hanges and future of construction industry2019 / 지음: 김선근 / 한솔아카데미
도시를 만드는 기술 이야기 : 다리, 터널, 도로, 통신망, 전력망, 철도, 댐, 상하수도, 건설 장비까지 우리 주변을 둘러싼 인프라의 모든 것 2024 / 지음: 그레이디 힐하우스 ; 옮김: 윤신영 / 한빛미디어
나, 이 고개에 길을 내다 : 인천의 동맥 천마산 관통도로 건설수기2013 / 한동규 지음 / 생각나눔
빌트, 우리가 지어 올린 모든 것들의 과학 : 그림과 원리로 읽는 건축학 수업2019 / 지음: 로마 아그라왈 ; 옮김: 윤신영, 우아영 / 어크로스
선로공학 : 궤도역학, 궤도재료, 궤도의 설계와 관리, 보안·운전, 소음·진동2012 / 서사범 저 / BG북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