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서언
한국어판에 대한 저자 서언
역자 서언
第1章 지속가능한 식물공장 실현을 위한 기반과 과제
1.1 일본 농업과 투입 1차 에너지·환경
1.1.1 농업생산액, 식량자급률 및 농업종사 인구
1.1.2 1차 에너지 소비량
1.1.3 CO₂ 배출량
1.1.4 시설원예에서 난방에너지와 CO₂배출량 절감
1.1.5 환경에 미치는 영향
1.1.6 석유의존형 농업의 악 영향과 대처법
1.1.7 지속가능한 농업생산시스템 디자인
1.1.8 농산물의 안전확보 -GAP-
1.2 식물공장 Working Group 보고서
1.2.1 역사
1.2.2 식물공장의 영어적 표현
1.2.3 식물공장 Working Group 보고서 개요
1.3 식량·에너지자원·환경과 지구온난화·빈곤격차 문제
1.3.1 식물생산 및 육묘생산의 중요성
1.3.2 모드 2의 과학과 시민과학
1.3.3 “Glonacal"한 측면의 필요성
第2章 식물생산시스템에 미치는 요인과 시스템의 종류
2.1 식물생산시스템의 종류와 특성 및 용도
2.2 다변량 비선형 복잡계로의 식물공장 시스템
2.3 작물의 생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식물생산시스템의 밀폐정도
2.3.1 작물생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
2.3.2 개방형, 반밀폐형,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의 정의와 대상 작물
2.3.3 식물생산시스템의 밀폐정도가 투입자원 이용효율에 미치는 작업가설
2.3.4 식물생산에 이용되는 태양광은 인공광보다 자원절약적이고 환경보전적인가?
2.3.5 식물공장에서 각종 이용효율
第3章 통합환경제어
3.1 통합환경제어의 개념
3.1.1 총광합성 속도 및 순광합성속도 모델
3.1.2 최적 엽면적지수
3.1.3 기류속도와 VPD 제어의 중요성
3.1.4 통합환경제어에 의해 기대되는 효과
第4章 히트펌프의 이용
4.1 히트펌프의 조립과 특징
4.2 히트펌프의 성적계수(COP)
4.2.1 냉/난방 성적계수간의 관계
4.2.2 성적계수의 연차적 향상
4.2.3 실온이 외부 기온온도보다 높은 경우 냉방시 COP
4.2.4 증발기의 집열과 응축기의 방열을 동시 이용하는 경우의 COP
4.2.5 히트펌프의 연간 에너지 소비효율
4.2.6 증발기에서 생성된 결로수의 이용
4.2.7 외부 기온 온도 저하에 의한 COP의 저하와 해빙(Defrost)운전
4.2.8 잉여열의 난방열원으로의 이용과 변온관리
4.2.9 하이브리드 운전
4.2.10 야간냉방, 제습운전, 송풍
4.2.11 히트펌프 냉방시 CO₂ 시용상 장점
4.2.12 시용되는 CO₂소스
4.2.13 온실에 이용된 COP가 높은 가정용 히트펌프
4.2.14 히트펌프 난방에 의한 CO₂배출량 절감
4.2.15 전기 히트펌프 운전시 전력비용
第5章 여름철 주간의 환경제어
5.1 자연광 식물공장의 여름철의 제로 농도차 CO₂시용법
5.1.1 CO₂농도가 광합성속도에 미치는 영향
5.1.2 겨울철 CO₂시용의 문제점
5.1.3 여름철 CO₂시용의 어려움과 해결방향
5.1.4 제로 농도차 CO₂시용법-실내외의 CO₂농도를 제로에 근접하게 유지-
5.2 자연광 식물공장의 여름철 분무냉방
5.2.1 실내 고온의 의미0
5.2.2 기화냉방법의 종류와 특징
5.2.3 자연환기하의 포그냉방의 문제점
5.2.4 자연환기하의 포그냉방의 문제점에 대한 원인과 해결법-포그 분무냉방법-
5.3 광합성속도, 암호흡속도, 증산속도, 양분흡수속도의 온라인 리얼타임 관측
第6章 유비쿼터스 환경제어시스템
6.1 온실에서 식물공장으로의 환경제어시스템의 진화
6.1.1 기존의 온실 환경제어의 한계
6.1.2 새로운 환경제어시스템의 필요성
6.2 유비쿼터스 환경제어시스템의 조합과 특징
6.2.1 유비쿼터스 컴퓨팅
6.2.2 유비쿼터스 환경제어시스템(UECS)
6.2.3 UECS의 조합과 특징
6.3 전자화, 표준화에 의한 식물공장의 정보기반 정비
6.3.1 생물의 적응 메커니즘으로 생각하는 작물생산 정보화의 이점
6.3.2 정보화의 열쇠는 전자화와 규격화
6.3.3 Bottom up형의 개선효과가 가지는 정보시스템 기능
第7章 인공광 식물공장
7.1 밀폐형 생산시스템
7.2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
7.2.1 시스템 구성
7.2.2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의 특징
7.2.3 자주 있는 질문, 의문, 비판에 대한 대답
7.3 인공광 식물공장의 향후 전망
7.3.1 광원
7.3.2 대상작물
7.3.3 고품질 식물생산을 위한 환경제어의 향후 과제
7.3.4 식물공장에 관한 기타 과제
第8章 식물공장의 과제와 비전
8.1 인재육성
8.2 로봇
8.3 기본으로 돌아와서 생각해보자(1)-네덜란드형 자연광 식물공장의 지붕 높이는 왜 높은가?
8.3.1 공기비열과 열용량
8.3.2 군락의 열용량
8.3.3 현열에서 잠열에의 변화
8.3.4 VPD의 변동폭
8.3.5 기온의 수직분포
8.3.6 난방비
8.4 기본과 반대로 생각하자(2)-산광재 피복재로-
8.4.1 옥외의 전천일사량에 대한 직달광과 산란광의 비율
8.4.2 산광성 자재의 입사각별 광투과율, 산광률 및 산광각도 분포
8.4.3 산광성 재료로 피복된 온실 내의 군락상 광환경
8.4.4 직달광 투과시의 온실 내의 그림자
8.4.5 군락내의 광환경
8.5 식물공장의 환경제어 소프트웨어가 외국산으로 괜찮은가?
8.6 중국 및 동남아시아에서 시설원예
8.7 유비쿼터스 식물공장-마을속, 역근방, 개인식물공장
8.8 휴대전화 문화와의 연계
결언
인용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