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하얼빈 의거와 뤼순재판, 그리고 그 후 안중근의 의병운동 / 오영섭 머리말 1. 간도 망명과 항일 방략의 전환 2. 연해주에서 창의활동과 계몽활동 3. 고종세력의 의병 추동과 동의회의 결성 4. 국내진공작전의 전개와 실패 맺음말 안중근의 하얼빈 의거와 고종황제 / 이태진 머리말 1. 고종황제 밀사에 대한 블라디보스토크 일본 총영사의 보고문 2. 하얼빈 의거의 기획 전말에 관한 탐문보고와 정재관 3. 황제 고문역 헐버트의 상하이 행과 그 임무 4. 국제변호인단 구성 추진의 전말 맺음말 부록: 고종황제 밀사에 관한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일본영사관의 보고자료 안중근 재판의 불법성과 동양평화 - 1905년 한국보호조약 효력과 관련하여 / 도츠카 에츠로 들어가며 - 안중근 재판이란 무엇인가? 1. 안중근 재판의 불법성에 대해 2. 안중근 재판의 불법성에 대한 대응 안중근 가문의 백세유방과 망각지대 / 도진순 머리말: 기억의 양면, 빛과 어둠 1. 독립운동: 이산의 삶과 죽음 2. 직계유족의 비극: 육체적·정신적 사망 3. 국제반전연대와 남북평화통일 맺음말: 새로운 출발을 위하여 중국인이 쓴 안중근에 대한 저작물과 그에 대한 세 가지 이미지 / 왕위엔쩌우 1. 중국에서 쓰인 안중근에 대한 저작물 2. 저항의 상징, 안중근 3. 협객의 상징, 안중근 4. 평화사설의 상징, 안중근 5. 결론 안중근 의거의 중국에 대한 영향과 그 평가 / 최봉룡 머리말 1. 안중근의 중국활동과 사상적 변화 2. 안중근의 하얼빈 의거와 옥중투쟁 및 《동양평화론》 3. 안중근에 대한 중국인의 평가와 기념시설 맺음말 ‘조선병합’과 일본의 여론 / 히라다 겐이치 1. 머리말 2. 밀사 사건과 일본의 여론 3. 하얼빈 의거·일진회의 합방상주와 일본의 여론 4. ‘조선병합’과 일본의 여론
제2부 안중근의 동양평화론과 현대적 의의 한국 근대 동양평화론의 기원 및 계보와 안중근 / 서영희 머리말 1. 사상적 기원으로서 동양주의 2. 실천방략으로서 연대론·제휴론의 계보 맺음말 - 21세기 동아시아 담론과 동양평화론 안중근의 동양평화론 재조명 - 칸트 철학의 평화사상과의 만남 - / 이태진 서론 - 자료 간행과 연구 현황 1. 《동양평화론》에 대한 문헌적 검토 2. ‘동양평화론’ 연구의 새로운 두 가지 시각 3. 칸트 《영구평화론》 영향설의 검증 결론 - 대한민국 건국이념과의 관계 미완의 ‘동양평화론’ - 그 사상적 흐름과 가능성에 대하여 - / 야마무로 신이치 머리말 - 평가의 대극성을 넘어서 1. 안중근에 대한 시선 2. 《동양평화론》으로의 길 3. 두 개의 ‘동양평화’ 4. 《동양평화론》의 이론 구성 맺음말 - 다 쓰지 못한 《동양평화론》의 의의 안중근 의사의 동양평화론의 현대적 의의 - 새로운 ‘동아시아공동체’ 구상의 선구자 - / 마키노 에이지 시작하며 1. 개인사와 ‘역사 기억’의 이야기론 2. 안중근 의사의 ‘동양평화론’과 칸트의 ‘영원평화론’ 3. 안중근의 《동양평화》과 유럽연합의 이념 4. 안중근의 ‘동양평화론’과 새로운 ‘동아시아공동체’ 구상 결론 안중근의 재판 - 안중근과 칸트의 사상 비교연구 - / 사사가와 노리가쓰 머리말 1. ‘공화제’와 관련해서 2. ‘평화’와 관련해서 3. Tryann(폭군/참주)와 관련해서 맺음말 일본의 확장주의와 안중근의 동양평화론 / 쉬용 1. 일본 군국주의 확장과 동아시아 전통질서의 붕괴 2. 군국주의 일본의 조선 침략과 그들의 평화구호 3. 안중근의 《동양평화론》과 그 역사적 의의
제언: 연구의 방향과 현양의 과제 안중근의 하얼빈 의거 100주년의 성찰 - 안중근 연구가 나아가야 할 길 - / 윤병석 머리말 1. 하얼빈 의거의 역사적 배경 2. 안중근의 하얼빈 의거 3. 옥중투쟁과 〈이토 히로부미의 죄상 15개조〉 4. 《안응칠역사》와 《동양평화론》 5. 안중근의 시문과 유묵 맺음말 - 안 의사 현양과 연구의 방향 안중근 의거 100년 - 일본에서 안중근 연구의 현황과 과제 - / 강성은 1. 연구사 2. 연구 과제 부록: 안중근 연구 일본어 자료목록
서가브라우징
안중근 평전 : 구국의 별, 평화의 횃불2016 / 지음: 이창호 / 벗나래
(그림으로 읽는)한국 근대의 풍경2011 / 이충렬 지음 / 김영사
(그림으로 읽는)한국 근대의 풍경2011 / 이충렬 지음 / 김영사
고종시대의 재조명2000 / 이태진 지음 / 태학사
끝나지 않은 역사 : 식민지배 청산을 위한 역사인식2017 / 지음: 이태진 / 태학사
일제의 대한제국 강점1995 / 이태진 편 / 까치
지식인 안중근 : 투철한 국민 의식 치열한 평화 사상 2024 / 지음: 이태진 / 태학사
영원히 타오르는 불꽃 : 안중근의 하얼빈 의거와 동양평화론 : 순국 100주년 추념2010 / 이태진 외 ; 안중근·하얼빈학회 [지음] / 지식산업사
韓國開化百年史2004 / 이현희 지음 / 한국학술정보(주)
서울, 공간으로 본 역사 /2004 / 장규식 지음. / 혜안
한성신보가 기획한 근대 한국의 표상 : 일제관변신문은 한국근대사를 어떻게 왜곡·은폐·조작했는가?2023 / 지음: 장영숙 / 역사공간
1898, 문명의 전환 : 대한민국 기원의 시공간2011 / 전인권 ; 정선태 ; 이승원 지음 / 이학사
그래서 나는 조선을 버렸다 : 정답이 없는 시대, 홍종우와 김옥균이 꿈꾼 다른 나라2017 / 정명섭 지음 / 추수밭
서양인의 조선살이, 1882~19102008 / 정성화, 로버트 네프 지음 / 푸른역사
조선을 찾은 서양의 세 여인 : 시선에 갇힌 진실2013 / 정영목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