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서문

제1부 하얼빈 의거와 뤼순재판, 그리고 그 후
안중근의 의병운동 / 오영섭
머리말
1. 간도 망명과 항일 방략의 전환
2. 연해주에서 창의활동과 계몽활동
3. 고종세력의 의병 추동과 동의회의 결성
4. 국내진공작전의 전개와 실패
맺음말
안중근의 하얼빈 의거와 고종황제 / 이태진
머리말
1. 고종황제 밀사에 대한 블라디보스토크 일본 총영사의 보고문
2. 하얼빈 의거의 기획 전말에 관한 탐문보고와 정재관
3. 황제 고문역 헐버트의 상하이 행과 그 임무
4. 국제변호인단 구성 추진의 전말
맺음말
부록: 고종황제 밀사에 관한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일본영사관의 보고자료
안중근 재판의 불법성과 동양평화 - 1905년 한국보호조약 효력과 관련하여 / 도츠카 에츠로
들어가며 - 안중근 재판이란 무엇인가?
1. 안중근 재판의 불법성에 대해
2. 안중근 재판의 불법성에 대한 대응
안중근 가문의 백세유방과 망각지대 / 도진순
머리말: 기억의 양면, 빛과 어둠
1. 독립운동: 이산의 삶과 죽음
2. 직계유족의 비극: 육체적·정신적 사망
3. 국제반전연대와 남북평화통일
맺음말: 새로운 출발을 위하여
중국인이 쓴 안중근에 대한 저작물과 그에 대한 세 가지 이미지 / 왕위엔쩌우
1. 중국에서 쓰인 안중근에 대한 저작물
2. 저항의 상징, 안중근
3. 협객의 상징, 안중근
4. 평화사설의 상징, 안중근
5. 결론
안중근 의거의 중국에 대한 영향과 그 평가 / 최봉룡
머리말
1. 안중근의 중국활동과 사상적 변화
2. 안중근의 하얼빈 의거와 옥중투쟁 및 《동양평화론》
3. 안중근에 대한 중국인의 평가와 기념시설
맺음말
‘조선병합’과 일본의 여론 / 히라다 겐이치
1. 머리말
2. 밀사 사건과 일본의 여론
3. 하얼빈 의거·일진회의 합방상주와 일본의 여론
4. ‘조선병합’과 일본의 여론

제2부 안중근의 동양평화론과 현대적 의의
한국 근대 동양평화론의 기원 및 계보와 안중근 / 서영희
머리말
1. 사상적 기원으로서 동양주의
2. 실천방략으로서 연대론·제휴론의 계보
맺음말 - 21세기 동아시아 담론과 동양평화론
안중근의 동양평화론 재조명 - 칸트 철학의 평화사상과의 만남 - / 이태진
서론 - 자료 간행과 연구 현황
1. 《동양평화론》에 대한 문헌적 검토
2. ‘동양평화론’ 연구의 새로운 두 가지 시각
3. 칸트 《영구평화론》 영향설의 검증
결론 - 대한민국 건국이념과의 관계
미완의 ‘동양평화론’ - 그 사상적 흐름과 가능성에 대하여 - / 야마무로 신이치
머리말 - 평가의 대극성을 넘어서
1. 안중근에 대한 시선
2. 《동양평화론》으로의 길
3. 두 개의 ‘동양평화’
4. 《동양평화론》의 이론 구성
맺음말 - 다 쓰지 못한 《동양평화론》의 의의
안중근 의사의 동양평화론의 현대적 의의 - 새로운 ‘동아시아공동체’ 구상의 선구자 - / 마키노 에이지
시작하며
1. 개인사와 ‘역사 기억’의 이야기론
2. 안중근 의사의 ‘동양평화론’과 칸트의 ‘영원평화론’
3. 안중근의 《동양평화》과 유럽연합의 이념
4. 안중근의 ‘동양평화론’과 새로운 ‘동아시아공동체’ 구상
결론
안중근의 재판 - 안중근과 칸트의 사상 비교연구 - / 사사가와 노리가쓰
머리말
1. ‘공화제’와 관련해서
2. ‘평화’와 관련해서
3. Tryann(폭군/참주)와 관련해서
맺음말
일본의 확장주의와 안중근의 동양평화론 / 쉬용
1. 일본 군국주의 확장과 동아시아 전통질서의 붕괴
2. 군국주의 일본의 조선 침략과 그들의 평화구호
3. 안중근의 《동양평화론》과 그 역사적 의의

제언: 연구의 방향과 현양의 과제
안중근의 하얼빈 의거 100주년의 성찰 - 안중근 연구가 나아가야 할 길 - / 윤병석
머리말
1. 하얼빈 의거의 역사적 배경
2. 안중근의 하얼빈 의거
3. 옥중투쟁과 〈이토 히로부미의 죄상 15개조〉
4. 《안응칠역사》와 《동양평화론》
5. 안중근의 시문과 유묵
맺음말 - 안 의사 현양과 연구의 방향
안중근 의거 100년 - 일본에서 안중근 연구의 현황과 과제 - / 강성은
1. 연구사
2. 연구 과제
부록: 안중근 연구 일본어 자료목록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안중근 평전  : 구국의 별, 평화의 횃불 안중근 평전 : 구국의 별, 평화의 횃불 2016 / 지음: 이창호 / 벗나래
(그림으로 읽는)한국 근대의 풍경 (그림으로 읽는)한국 근대의 풍경 2011 / 이충렬 지음 / 김영사
(그림으로 읽는)한국 근대의 풍경 (그림으로 읽는)한국 근대의 풍경 2011 / 이충렬 지음 / 김영사
고종시대의 재조명 고종시대의 재조명 2000 / 이태진 지음 / 태학사
끝나지 않은 역사  : 식민지배 청산을 위한 역사인식 끝나지 않은 역사 : 식민지배 청산을 위한 역사인식 2017 / 지음: 이태진 / 태학사
일제의 대한제국 강점 일제의 대한제국 강점 1995 / 이태진 편 / 까치
지식인 안중근 : 투철한 국민 의식 치열한 평화 사상 지식인 안중근 : 투철한 국민 의식 치열한 평화 사상 2024 / 지음: 이태진 / 태학사
영원히 타오르는 불꽃  : 안중근의 하얼빈 의거와 동양평화론  : 순국 100주년 추념 영원히 타오르는 불꽃 : 안중근의 하얼빈 의거와 동양평화론 : 순국 100주년 추념 2010 / 이태진 외 ; 안중근·하얼빈학회 [지음] / 지식산업사
韓國開化百年史 韓國開化百年史 2004 / 이현희 지음 / 한국학술정보(주)
서울, 공간으로 본 역사 / 서울, 공간으로 본 역사 / 2004 / 장규식 지음. / 혜안
한성신보가 기획한 근대 한국의 표상 : 일제관변신문은 한국근대사를 어떻게 왜곡·은폐·조작했는가? 한성신보가 기획한 근대 한국의 표상 : 일제관변신문은 한국근대사를 어떻게 왜곡·은폐·조작했는가? 2023 / 지음: 장영숙 / 역사공간
1898, 문명의 전환  : 대한민국 기원의 시공간 1898, 문명의 전환 : 대한민국 기원의 시공간 2011 / 전인권 ; 정선태 ; 이승원 지음 / 이학사
그래서 나는 조선을 버렸다  : 정답이 없는 시대, 홍종우와 김옥균이 꿈꾼 다른 나라 그래서 나는 조선을 버렸다 : 정답이 없는 시대, 홍종우와 김옥균이 꿈꾼 다른 나라 2017 / 정명섭 지음 / 추수밭
서양인의 조선살이, 1882~1910 서양인의 조선살이, 1882~1910 2008 / 정성화, 로버트 네프 지음 / 푸른역사
조선을 찾은 서양의 세 여인 : 시선에 갇힌 진실 조선을 찾은 서양의 세 여인 : 시선에 갇힌 진실 2013 / 정영목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저잣거리의 목소리들  : 1900년, 여기 사람이 있다 저잣거리의 목소리들 : 1900년, 여기 사람이 있다 2014 / 이승원 지음 / 천년의상상
인조仁祖 1636 : 혼군의 전쟁, 병자호란 인조仁祖 1636 : 혼군의 전쟁, 병자호란 2023 / 지음: 유근표 / 북루덴스
안중근家 사람들  : 영웅의 숨겨진 가족이야기 안중근家 사람들 : 영웅의 숨겨진 가족이야기 2017 / 정운현, 정창현 지음 / 역사인
안중근 평전 안중근 평전 2010 / 김삼웅 지음 / 시대의창
코레아 우라 : 박삼중 스님이 쓰는 청년 안중근의 꿈 코레아 우라 : 박삼중 스님이 쓰는 청년 안중근의 꿈 2015 / 지음: 박삼중 / 소담출판사
안중근 평전  : 구국의 별, 평화의 횃불 안중근 평전 : 구국의 별, 평화의 횃불 2016 / 지음: 이창호 / 벗나래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 바람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 바람 2016 / 이이화 지음 / 한길사
(미래를 여는)한국의 역사. 1-5 : 원시시대에서 남북국시대까지 : 고려시대 (미래를 여는)한국의 역사. 1-5 : 원시시대에서 남북국시대까지 : 고려시대 2011 / 지은이: 김인호, 임용한, 한정수 ;, 기획: 역사문제연구소 / 웅진씽크빅
(미래를 여는)한국의 역사. 1-5 : 원시시대에서 남북국시대까지 : 고려시대 (미래를 여는)한국의 역사. 1-5 : 원시시대에서 남북국시대까지 : 고려시대 2011 / 지은이: 김인호, 임용한, 한정수 ;, 기획: 역사문제연구소 / 웅진씽크빅
민음 한국사. 2:, 16세기 성리학 유토피아 민음 한국사. 2:, 16세기 성리학 유토피아 2014 / 강응천, 권소현, 송웅섭, 염정섭, 오상학, 정재훈, 한명기, 한필원 ; 편저: 문사철 / 민음사
요동고구려 산성을 가다 : 73개 고구려 산성 현장답사 요동고구려 산성을 가다 : 73개 고구려 산성 현장답사 2018 / 지음: 원종선, 서문: 김용옥 / 통나무
조선 왕을 말하다. 1 : 이덕일 역사평설 조선 왕을 말하다. 1 : 이덕일 역사평설 2015 /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조선의 딸, 총을 들다 조선의 딸, 총을 들다 2016 / 정운현 지음 / 인문서원
역사로 남은 조선의 살인과 재판 역사로 남은 조선의 살인과 재판 2013 / 이번영 지음 / 이른아침
1923 경성을 뒤흔든 사람들 1923 경성을 뒤흔든 사람들 2016 / 김동진 지음 / 서해문집
퍼펙트 조선왕조 : 정도전과 조선왕조의 숨겨진 역사의 현장. 2 퍼펙트 조선왕조 : 정도전과 조선왕조의 숨겨진 역사의 현장. 2 2014 / 이준구, 강호성 [공]지음 / 스타북스
한국사에 감동하다 : 세계에 자랑해도 좋을 감동의 역사를 읽는다! 한국사에 감동하다 : 세계에 자랑해도 좋을 감동의 역사를 읽는다! 2015 / 지음: 원유상 / 좋은날들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4, 개항에서 강제 병합까지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4, 개항에서 강제 병합까지 2011 / 정숭교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경성 모던타임스 경성 모던타임스 2014 / 박윤석 지음 / 문학동네
한국 고대 왕조사 탐색 : 삼국유사주의를 그리며 한국 고대 왕조사 탐색 : 삼국유사주의를 그리며 2013 / 김영태 지음 / 동국대학교출판부
(오직 한 사람을 위한 시대)유신 (오직 한 사람을 위한 시대)유신 2014 / 한홍구 지음 / 한겨레출판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1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2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1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2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