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진의 '식민지배 청산을 위한 역사인식' <끝나지 않은 역사>. 1부 '비정상의 극을 달린 조약 강제', 2부 '무엇이 일본을 오도했는가?', 3부 '국제사회를 상대로 한 병합 무효화 운동'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프롤로그
1부 비정상의 극을 달린 조약 강제 1. 조약에 남겨진 불법 강제의 증거들 2. 한국 황제의 '한국병합조약' 비준 거부 3. 「한국병합조약」 진행에 관한 일본 신문의 왜곡 보도 - 『東京日日新聞(도쿄니치니치신문)』의 기사를 중심으로
2부 무엇이 일본을 오도했는가? 4. 吉田松陰(요시다쇼인)과 德富蘇峰(도쿠토미 소호) - 근대 일본 한국 침략의 사상적 基底(기저) 5. 근대 일본 한국 침략의 주체 長州(조슈) 번벌 - 명성황후와 고종황제 살해 6. 고종황제의 독살과 일본정부 수뇌부
3부 국제사회를 상대로 한 병합 무효와 운동 - 성과와 왜곡의 뒤안길 7. 한국병합 무효화 운동과 歐美(구미)의 언론과 학계:1907~1936 8. 架橋(가교)가 없는 두 개의 한일협정 - 1910년의 ‘한국병합’ 조약과 1965년 한일협정
에필로그 : 새로 시작해야 할 과제 부록 1. The Petition of the Korean People and Nation for Liberation from Japan and for the reconstruction of Korea as an independent state (Kim Kiusic, 1919. 5. 12) 부록 2. The Appeal of the Korean People for Liberation from Japan (Whang Ki-Whan, 1921. 6. 11)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전봉준, 혁명의 기록 : 동학농민전쟁 120년, 녹두꽃 피다2014 / 이이화 지음 / 생각정원
전봉준, 혁명의 기록 : 동학농민전쟁 120년, 녹두꽃 피다2014 / 이이화 지음 / 생각정원
미야모토 소위, 명성황후를 찌르다 : 120년만에 밝혀지는 일본 군부 개입의 진상2015 / 지음: 이종각 / 메디치미디어
안중근 평전 : 구국의 별, 평화의 횃불2016 / 지음: 이창호 / 벗나래
(그림으로 읽는)한국 근대의 풍경2011 / 이충렬 지음 / 김영사
(그림으로 읽는)한국 근대의 풍경2011 / 이충렬 지음 / 김영사
고종시대의 재조명2000 / 이태진 지음 / 태학사
끝나지 않은 역사 : 식민지배 청산을 위한 역사인식2017 / 지음: 이태진 / 태학사
일제의 대한제국 강점1995 / 이태진 편 / 까치
지식인 안중근 : 투철한 국민 의식 치열한 평화 사상 2024 / 지음: 이태진 / 태학사
영원히 타오르는 불꽃 : 안중근의 하얼빈 의거와 동양평화론 : 순국 100주년 추념2010 / 이태진 외 ; 안중근·하얼빈학회 [지음] / 지식산업사
韓國開化百年史2004 / 이현희 지음 / 한국학술정보(주)
서울, 공간으로 본 역사 /2004 / 장규식 지음. / 혜안
한성신보가 기획한 근대 한국의 표상 : 일제관변신문은 한국근대사를 어떻게 왜곡·은폐·조작했는가?2023 / 지음: 장영숙 / 역사공간
1898, 문명의 전환 : 대한민국 기원의 시공간2011 / 전인권 ; 정선태 ; 이승원 지음 / 이학사
같이 빌린 책
새韓國史 : 선사시대에서 조선 후기까지2012 / 저자: 이태진 / 까치글방
매국사학의 18가지 거짓말 : 우리 역사를 팔아먹는 주류 역사학자들의 궤변을 비판하다2017 / 지음: 황순종 / 만권당
하늘에 새긴 우리역사 : 천문기록에 담긴 한국사의 수수께끼2002 / 박창범 지음 / 김영사
천부경 81자 바라밀 : 천부경에 숨겨진 천문학의 비밀2018 / 지음: 박용숙 / 소동
같은 주제의 책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 바람2016 / 이이화 지음 / 한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