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뮤지컬 배우로서 갖추어야 할 팔방미인의 조건들, 춤, 연기, 노래에 관련한 이론적 배경 뿐 아니라 실기와 관련된 훈련법까지 총 망라한 실습서이자 이론서이다. 데이비드 헨슨 교수와 키네스 피커링 교수가 수년 동안 학생들을 가르쳐온 수업을 바탕으로 집필하였다.
목차
옮긴이 서문
감사의 글
이 책에 관하여
누구를 위한 책인가?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어떤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는가?
여러분에게 어떤 작업을 요구하는가?
책의 사용법
전문 용어들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시작 전 당부사항
그림 차례
PART 1 자신을 이해하기
1장 배우-가수 지망생이 훈련중 겪는 외로움
기초를 나열해보기
여기서, 지금 시작하자: 나는 왜 여기에 있는가?
새로운 학습방법?
우리는 노래하는 법을 가르치지 않는다 - 단지 정보를 알려줄 뿐이다._노래하는 것은 바로 자신이다
잠시 멈추고 생각하기
당신은 혼자가 아니다
‘자아’에 관하여 생각하기
말하는 목소리
노래하는 목소리
움직임
자아와 노래: 포트폴리오를 편집하고 개발하기
2장 ‘자신’을 사랑하는 것
생활방식
이완
워밍업
자아와 내면의 삶
언어, 생각, 행동
PART 2 공연을 이해하기
1장 과정을 시작하기
훈련의 시작
이것을 통해 무엇을 배우는가?
왜 자세에 관해 걱정하는가?
훈련1
훈련2
훈련3
일반적 코멘트
중립자세와 호흡
훈련4
훈련5
훈련6
훈련7
추가 훈련
고려사항
주의사항
훈련8
이 단계에서 알아두어야 할 중요한 점
그밖의 중요한 훈련
실전 워밍업
관심사항
워밍업 실습
워밍업 1: 보컬 메커니즘을 위한 가벼운 준비
워밍업 2: 젠틀 슬라이드
워밍업 3: 립 버즈
워밍업 4: 혀 트릴
워밍업 5: 사이렌 소리 또는 슬라이드
워밍업 6: 허밍
워밍업 7: 메사 디 보체
워밍업 8: 스케일
워밍업 9: 아르페지오에서 스타카토 노래
정리 훈련
실전 워밍업의 재고
2장 말, 말, 말
말은 왜 하는가?
대화
왜 노래하는가?
텍스트에 접근하기
포트폴리오 준비하기
할 일
더 고려해야 할 점?
집중적이고 비판적인 리스닝을 위한 작업
연기 과정
과정에 대한 반성- 다음 사항을 성취했는가?
중간 휴식
텍스트의 내적 리듬 발견하기
뮤지컬 악보로 무엇을 할 것인가?
녹음된 피아노 반주 사용법
피아노 반주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들을 것인가?
나는 충분히 다음 수업을 준비하였는가?
과정에 대한 반성
텍스트를 더 탐구하기 위하여 : 훈련과 활동
PART 3 뮤지컬을 이해하기
1장 뮤지컬의 해부
뮤지컬의 종류
활동 과제
노래의 종류
쇼 발라드
내러티브 발라드
드라마틱 발라드
캐릭터 송
패터 송
활동 과제
스탠더드
업템포
왈츠
토치 송
이중창, 삼중창
여성 이중창(소프라노/메조 소프라노)
남성 이중창( 테너/바리톤/베이스)
혼성 이중창
삼중창
그러면 우리는 왜 이 정보가 필요한 것인가?
2장 뮤지컬의 기원과 발전
1. 20세기 이전 대중오락공연의 초기형태들
2. 20세기 뮤지컬 발전기
1) 1907-1941: 폴리스와 발라드의 정착
2) 1918-1931 런던: 위트와 렉타임
3) 1927 뉴욕: 최초의, 대단히 ‘진지한’ 미국 뮤지컬
4) 1935-1945 런던: 경이로운 사람의 등장
5) 1943-1968 브로드웨이: 황금시대의 시작
6) 1950년대: 로큰롤과 팝음악
7) 1960년, 1970년대 초기: 독특한 재능, 저항, 검열
8) 1970년대와 1980년대: 새로운 안무, 백스테이지 뮤지컬, 앙상블 쇼, ‘트리플 쓰렛’
9) 1990년대: 글로벌 상품, 노스탤지어, 첨단 기술의 뮤지컬
10) 2000년으로: 셀러브리티, 리바이벌, 문화다양성, ‘누구나 만들 수 있다’
뮤지컬 연표
뮤지컬 용어해설
지도처럼 보는 악보
악보 진행순서에 따라 나타난 용어 정리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