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정판 서문
■ 1판 서문
■ 차례
제1장 언어학
1. 언어학의 연구 분야
2. 공시적 접근 방법과 통시적 접근 방법
3. 언어학의 분류
제2장 언어
1. 언어의 정의
2. 의사소통의 기본적 형태
제3장 언어 습득
1. 행동주의와 인지주의
2. 행동주의적 관점 그리고 인지주의적 관점에서 보는 언어 습득
3. 0세부터 6세까지의 언어 습득
4. 언어 능력과 언어 사용 능력
5. 아이의 언어 습득에 있어서 어른의 역할
6. 아이의 언어 습득의 특성
제4장 규범 언어학과 역사 언어학
1. 규범 언어학
2. 역사 언어학
제5장 묘사 언어학
1. 페르디낭 드 소쉬르
2. 언어의 자의성
3. 랑그와 파롤
4. 기표와 기의
5. 공시적 연구와 통시적 연구
제6장 인류 언어학
1. 프란츠 보아스
2. 필사와 분류
3. 필사와 분류의 문제점
4. 사피어-워프 가설
제7장 구조 언어학
1. 레너드 블룸필드
2. 구조 언어학의 음운론
3. 구조 언어학의 구문론
4. 구조 언어학의 의미론
제8장 생성 언어학
1. 노암 촘스키
2. 노암 촘스키와 구조 언어학자 간의 언어 연구에 관한 개념론적 차이점
3. 노암 촘스키와 구조 언어학자 간의 언어 연구에 관한 방법론적 차이점
4. 변형생성 문법
5. 구 구조 규칙, 변형 규칙, 그리고 형태음소 규칙
6. 변형생성 문법의 음운론적 특징
7. 변형생성 문법의 의미론적 특징
8. 노암 촘스키의 언어학설에 대한 전반적 논평
제9장 심리 언어학
1. 심리 언어학에서의 노암 촘스키의 역할
2. 언어 습득
3. 모국어 습득
4. 제2언어 습득
제10장 사회 언어학
1. 윌리엄 라보브
2. 사회 언어학 연구에 대한 분류
3. 의사소통 구성 요소
4. 대화 관습
5. 발화 방식
6. 동작학
7. 방언
제11장 화용론
1. 정보 구조
2. 발화 행위
제12장 언어의 보편성
1. 보편 문법
2. 언어 유형론
제13장 인간과 언어
1. 인간의 존재론적 특성과 언어
2. 언어의 기원
3. 언어의 유형적 분류와 특징
부록
부록 1 발음기호
부록 2 발성기관
부록 3 음성의 묘사
부록 4 모음과 자음
부록 5 언어학 용어해설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