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일기연구는 사회와 일상, 일상성의 변화, 일상생활 속의 갈등과 모순, 인간 개개인의 자율성 등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게 하였는데, 이는 개인의 주관적 세계에 관심을 갖는 사회의 미시적 관점으로의 전환과 관련이 있다.
목차
서문
제1부 일기연구의 방법
제1장 개인자료로서의 일기연구에 대한 방법론 모색 / 손현주
제2장 일기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로컬리티 / 차윤정
제2부 동아시아 일기연구의 현황
제3장 해방 후 한국 일기연구의 흐름과 과제/ 이정덕
제4장 주제, 관점과 방법: 중국 일기연구에 대한 회고와 성찰 / 왕쉬후이(王旭辉)
제5장 대만 일기연구의 과거와 현황 / 쉬쉬에찌(許雪姬)
제3부 동아시아 일기연구의 응용방법 모색
제6장 일기 디지털 시스템의 응용과 설비: 대만의 일기지식허브를 중심으로 / 왕리치아오(王麗蕉)·쳉리중(鄭麗榕)
제7장 근대 일본의 일기장: 故후쿠다 히데이치씨가 수집한 일기자료 모음집에서 / 타나카 유스케(田中祐介)·츠치야 슈이치(土屋宗一)·아소 아유미(阿曽歩)
제8장 주물노동자의 일기로 본 압축근대 초기 공장생활: 토픽모델링기법을 활용하여 / 남춘호·유승환
부록 동아시아 일기 목록
부록1 한국의 해방 후 일기 출판 목록
부록2 중국의 출판 일기 목록
부록3 대만 중앙연구원대만사연구소 문서관 소장 일기 목록
부록4 근대 일본의 일기 목록
찾아보기